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지원현황 및 정책과제

이용수 1570

영문명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Male Victims Support Status and Policy Task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미정(Mijeong Lee) 정수연(Soo-Yeon Jung) 양혜린(Hye-lin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8 연구보고서 (기본), 1~248쪽, 전체 2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32,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는 개선되었지만 다수 피해자인 여성에 특화되어 남성 피해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이들에 대한 이해 부족 및 지원체계의 미비로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관련 기존 통계자료 및 기사 검토, 가정폭력 실태조사 자료 분석, 남성 피해자 심층면접,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남성폭력 피해자의 특성, 피해 경험 및 특성, 지원 욕구를 검토하고 남성 피해자 지원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려고 한다. 자료 분석을 토대로 남성 폭력피해자를 위한 포괄적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남성 폭력피해자 실태, 특성, 지원 관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기존 조사통계와 범죄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남성 피해자 발생 규모를 파악하고, 언론보도 자료를 분석하여 남성 젠더폭력 피해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둘째, 2016년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피해여부, 성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피해발생 관련 사회적 변인을 살펴보고 남성 가정폭력 피해의 원인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셋째, 남성 가정폭력 피해자와 성폭력 피해자 각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넷째, 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남성 피해자 지원과 관련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외국 연구가 남성폭력 피해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3. 연구의 범위 및 한계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폭력피해자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과제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남성 폭력피해와 관련된 기존 자료는 범죄통계나 실태조사에서 제시된 남성 피해 규모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정책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는 남성 폭력피해자 지원에 대한 초기 연구로, 자료 수집과 관련된 제한과 어려움으로 인해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본 연구의 정책 제안에서는 남성피해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지원체계 재정립과 같이 근본적인 이슈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해당 주제에 대한 후속연구가 축적되어 남성 피해자 지원에 큰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 Ⅱ.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 1.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 가. 성폭력 남성피해자 2016년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에 따르면 신체적 성폭력 피해를 당한 남성은 1.2%, 성희롱 피해는 0.8%로 나타났다(황정임 외, 2016:37). 2016년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동향분석 을 보면, 남자 아동·청소년 강제추행 피해는 전체 강제추행의 7.3%이고, 음란물 제작은 9.8%이다(송효진 외, 2016:34). 2004년 군대내 성폭력 실태조사 에 의하면 남성간 성폭력 직접 피해 경험 비율은 15.4%, 가해 경험 7.2%, 목격 경험 24.7%로 나타났다(권인숙 외, 2004:47). 2016년 군 성폭력에 대한 연구는 남군 역시 성폭력 피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원 사각지대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이미정 외, 2016:21).

영문 초록

The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domestic violence has been greatly improved in Korea, but because the system is specialized for the mostly female victims, accessing services is difficult for male victims.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male victims, and the support system is inadequate and cannot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want to suggest measures to build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male victims.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we examine the existing research about victims of sexual violence/domestic violence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Second, we can grasp the scale of male victimization through existing research statistics and crime statistics, and we examine dimensions of male victimization by analyzing data from the mass media. Third,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2016 Nationwide Survey of Domestic Violence, we examined social variables related to occurrences of victimization and investigated causes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males. Fourth, we analyzed cas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s who were at least 19 years old through interviews with victims. Fifth, we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t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victim support agencies nationwide. Finall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7 professionals at victim support agencies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of supporting male victims, their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and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victi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The proposals are divided into greatly improving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improving services for supporting male victims of violence, and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male victims of viol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Males can also be faced with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and they can suffer as much as females because of their victimization, receiving injuries and suffering pain. In addition, when they are faced with victimization, they should be able to request help and support. Furthermore, a societal bond of sympathy should be formed about the point that male victims also have to be actively supported. This kind of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male victims. When comparing crime statistics with statistics from surveys, the rate of male victims is lower in crime statistics because there is a lower tendency for males to report to the police. The tendency of males to conceal their victimization by violence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y will be victimized again. The first step in solving th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males is exposing the reality of the victimization. To this end, we have to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violence against males and the time of the occurrence, and they have to be actively guided to request help.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publicize support services targeted at male victims.

목차

Ⅰ. 서 론
Ⅱ.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
Ⅲ. 남성피해자 발생 현황 : 범죄통계 및 신문기사 분석
Ⅳ. 남성의 배우자 폭력피해 원인 : 2016년 가정폭력실태조사 자료 분석
Ⅴ. 남성피해자의 고충 : 심층면접 자료 분석
Ⅵ. 남성피해자 지원 현황 : 지원기관 종사자 설문조사 분석
Ⅶ. 남성 폭력피해자 지원 현황 : 종사자 심층면접 자료 분석
Ⅷ. 정책개선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정(Mijeong Lee),정수연(Soo-Yeon Jung),양혜린(Hye-lin Yang). (2018).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지원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53), 1-248

MLA

이미정(Mijeong Lee),정수연(Soo-Yeon Jung),양혜린(Hye-lin Yang).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지원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53(2018): 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