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딸에서 며느리로 살아가기

이용수 495

영문명
From Daughter to Daughter-In-Law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Jisujae Yu Chukgi’s Cas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미진(Lee, Mi-ji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3輯, 195~2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知守齋 兪拓基(1691~1767)가 자신의 여러 딸과 며느리에게 남긴 祭文과 墓誌文을 대상으로, 한 집안의 가장이 지닌 여성 인식과 그 기록 속에 침투되어 있는 조선 사회의 이면을 읽어내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유척기는 당대 영의정에 오를 정도로 사회적 명망이 높았던 관료문인이었지만, 슬하 4남 5녀중 아들 둘과 다섯 명의 딸을 잃고 세 명의 며 느리까지 잃었을 정도로 비통한 가정사를 지닌 가장이기도 했다. 유척기가 작성한 딸과 며느리에 대한 제문・묘지문을 살펴보면, 딸이기 보다 시댁에서의 며느리로서의 삶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시 여성들이 딸이기 보다 며느리로서의 역할에 치중하였고 당시 사회가 여성들에게 이를 요구하고 기대했던 데에서 비롯된다. 특히 맏며느리 이씨 부 인의 경우, 유씨 집안 내 역할과 비중은 누구보다 막중했고 그중에서도 남아 출산의 임무는 시댁에서의 존재의 이유와 직접적으로 연동되어 있었는데, 이는 당시 며느리들이 남아를 출산할 때라야 실질적인 며느리로서 행세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유척기의 맏며느리 이씨 부인은 결국 남아를 출산하지 못한 상태에서 남편을 잃자 이듬해 따라 죽었고, 시아버지 유척기는 그녀의 죽음을 ‘烈婦’로 기록하였다. 이씨 부인은 남아를 출산하지 못한 상태에서 남편을 잃은 경우 從死하는 것이 진정한 효이자 烈의 실천이라 믿었던 것이다. 이렇듯 며느리의 남아 출산 임무는 조선 후기 사회가 요구했던 부인상 중 하나로써, 이 시 기는 혈연 중심의 가문의식이 고조된 당대에 그 집안의 맥을 잇고 가문 내 결집력을 공고화하기 위해 후사를 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시기 상층부 여성들은 살아있는 아이의 엄마이기 보다 죽은 남편을 따라 죽는 것이 시댁의 家格을 제고하고 본인 사후에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현달이라 판단하여 자살을 감행하였는데, 이는 당시 유교 지배 올로기 자장 안에서 남성 사대부 못지 않게 여성에게도 열의 윤리가 내면화되어 있었기에 가능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상층부 관료였던 유척기 집안의 딸과 며느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당시 烈婦의 존재와 그 속에 담겨진 사회 분위기를 읽어내는 한편, 父系 중심의 조선후기 사회는 혼인을 기점으로 딸에서 며느리로의 변화를 요구하였고, 이에 여 성들은 딸이기보다 며느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던 시기였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offer an insight on the awareness that the head of a household had toward women and the reverse side of Joseon Dynasty, based on funeral orations and epitaphs that Jisujae Yu Chukgi(1691~1767), in late Joseon Dynasty, had left to hi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Yu Chukgi was a then-prestigious government official and writer and became even a prime minister, but also a head of household with a grief-stricken family history who lost his two sons and five daughters, among three sons and five daughters, and three daughters-in-law. In the records about his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written by Yu Chukgi, he described largely about the life as a daughter-in-law rather than as a daughter.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n-women largely played a role as a daughterin-law rather than as a daughter and then-society required women to do so. Yu Chukgi’s eldest daughter-in-law Ms. Lee’s role within the family was heavier than anyone else and among which, her duty to give birth to a son was directly related to her position within her husband’s home, which suggests that then-daughter-in-law could be a real daughter-in-law only if she gave birth to a son. Yu Chukgi’s eldest daughter-in-law Ms. Lee lost her husband without giving birth to a son and died following his husband next year, and her father in law Yu Chukgi called her death as a ‘virtuous woman’ in his records. Ms. Lee believed that if she lost her husband without giving birth to a son, she had to follow her husband and this was a real filial duty. Daughter-in-law’s duty to give birth to a son was one of the duties that then-Joseon Dynasty society required women to fulfill. Having a son to unify people within the family w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ose days when blood-tied family was thought important. For this reason, women in upper classes died following their husbands who died, rather than becoming a mother of a child alive. They committed a suicide, thinking that it was the best act to enhance the value of their husband’s home, even after their death.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n-women had internalized ethics as a virtuous woman as much as then-men as a nobleman (scholar-official) in the dominant ideology of Confucianism.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virtuous women and the social atmosphere behind centering on the case of daughters and daughtersin- law of Yu Chukgi who became the prime minis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on the other hand, found that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as centered on a paternal family required daughters, from their marriage on, to play a role as a daughter-in-law and accordingly women had to find their identity as a daughter-in-law rather than as a daughter.

목차

1. 들어가기
2. 兪拓基 자녀들의 죽음과 祭文・墓誌 작성
3. 祭文・墓誌를 통해 본 유척기의 여성 인식
4. 조선후기 가부장제의 강화와 烈의 윤리
5.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진(Lee, Mi-jin). (2017).조선시대, 딸에서 며느리로 살아가기. 대동한문학, 53 , 195-228

MLA

이미진(Lee, Mi-jin). "조선시대, 딸에서 며느리로 살아가기." 대동한문학, 53.(2017): 195-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