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수영(水營)에 대한 고지도 및 발굴유구 비교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Comparative Study on Old Maps and Excavation Remains of Naval Fortress in Joseon Period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최인화(Choi Inhwa)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4호, 57~8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현재의 해군기지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수영(水營)에 대한 고지도와 실제 발굴조사 등으로 확인된 수영 유적을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또한 수영별로 확인된 유구의 형태나 축조방식 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고지도와 발굴유구를 살펴본 결과, 수영의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이나 부정형이 많아, 궁궐이나 병영성이 주로 (장)방형인 것과 차이를 보인다. 좌향은 부산 경상좌수영 (동향)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향을 택하고 있으며, 성문은 4~5개가 있다. 고지도와 발굴유구는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좌향’은 대부분 일치하나. 전체 평면 형태나 성문의 수 혹은 위치는 고지도에 따라 달랐다. 고지도에는 옹성이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나, 그 밖에 적대, 치, 해자 등의 세부시설은 기입되어 있지 않고 발굴유구에서 확인되는 경우가 있었다. 수영별로 확인된 유구를 검토해 본 결과, 적심의 경우 ‘원형잡석적심’을, 초석은 방형에 가까운 부정형 초석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용된 석재와 토사의 재질, 돌을 다듬거나 깬 수법은 차이를 보인다. 체성은 협축식과 내탁식, 편축식 등 수영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성벽을 축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같은 수영의 체성 내에서도 여러 방식이 혼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 조선시대 수영과 관련하여서는 고지도 등 사료를 바탕으로 한 문헌사적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수영 유적을 고지도와 함께 비교,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조선시대 ‘수영’의 본래 모습을 이해하고 복원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compared remains which have been found from actual excavation sites and the old maps of ‘Suyeoung’, the naval headquarter of Joseon period. I also analyzed the shap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remains of Suyeon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mparion between the old maps and excavated remains, the plane shape of ‘Suyeoung’ is a long ellipse or an irregular form, thus they are different from palaces or garrison which are mostly in rectangular shape. They all face south except the Busan naval headquarter, Gyeongsangjwasuyoung. There are four to five fortress gates found in the old maps. Some parts of old maps and excavated remains are matched, but some are not. Aspects were almost the same, but the entire plane shape or the number of gates of fortress were different in the old maps. On some of the old maps, barbicans are illustrated but other facilities such as moats are not. Meanwhile, not depicted facilities in the old maps were found in excavation site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remain, round-shaped foundation filled with stones and square or irregular shaped stone bases were mostly used. The kinds of stone and soil material, trimming and cracking methods were different. Each naval headquarter used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of walls, even in the same naval fortress. In relation to naval fortress of Joseon period, most of studies focused on historical records such as old maps and documents. I could confirm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ctual remains from excavation sites and the old maps. I hope this report could act as a stepping stone which leads to a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and restore the naval headquarter of Joseon Period.

목차

Ⅰ . 머리말
Ⅱ . 조선시대 수영 고지도 검토
Ⅲ . 조선시대 수영 고지도 및 발굴유구 비교검토
Ⅳ . 조선시대 수영 발굴유구 분석
Ⅴ .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인화(Choi Inhwa). (2017).조선시대 수영(水營)에 대한 고지도 및 발굴유구 비교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8 (4), 57-82

MLA

최인화(Choi Inhwa). "조선시대 수영(水營)에 대한 고지도 및 발굴유구 비교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8.4(2017): 5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