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규범 문법에서의 ‘음운 변동’에 대하여 * - 수능문제와 관련하여 -

이용수 440

영문명
On ‘Phonological Variation’ in Prescriptive Grammar
발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저자명
김경아(Gyeonga Kim)
간행물 정보
『인문논총』31, 7~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7년 수능 정답이 발표된 뒤 언어영역 12번 문제가 복수 정답 논란에 휩싸였다. 이 논문은 그러한 논란이 일어났던 이유가 무엇이었 는지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정답은 원래대로 확정이 되었지만 언어영역과 관련된 여러 블로그나 카페에서 수능 12번 문제의 경우 정답보다 오답을 선택한 학생이 국어의 문법 그 가운데 음운변 동에 대해 심층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식의 옹호 글도 보였다. 과연 그런 것일까? 출제자가 난이도 조절을 위한 함정 문제를 잘못 만든 것일 까? 우리는 정답과 오답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범 문법과 기술 문법을 함께 고려하며 살펴보았다. 이 문제에는 음운과 문자간의 관계 혹은 구어와 문어의 관계 그리고 규칙의 통시성과 공시성의 문제, 표기법의 원리 문제가 모두 내재되어 있었다. 즉 오답인 ‘꽂힌[꼬친]’에는 이러한 모든 논란이 응축되어 있고 이러한 문제들이 얽혀서 복수 정답 논란이 생겨났던 것으로 판단하 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하나씩 짚어보면서 기술 문법과 규범 문법 간의 괴리를 확인하였고, 기술 문법의 국어학적 지식이 규범 문법에 어떻게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할지 고민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출제자는 이 문제가 난이도의 조절에 필요한 일종의 함정 문제가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표준발음법과 한글맞춤법에 대한 지식을 동시에 묻고자 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출제자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꽂힌’의 경우 음절말 중화와 관련되어 유기음화와 구개음화에 이르게 된 것으로 분석하는 수험생들이 속출한 것이다. 사실 ‘꽂힌’을 통해 표준발음법의 유기음화 과정과 한글맞춤법의 구개음화 과정을 포괄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출제자의 의도는 정확한 것이었기 때문에 오답 논란은 논란 으로 그치고 정답 확정이 되었다. 음운론 전공자로서 이 부분은 평가 원의 정확한 판단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문제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규범 문법 내의 음운 변동의 성격이 형태 위주의 표기 때문에 왜곡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규범 문법의 음운 변동이 공시성과 통시성의 구분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순환론적인 이야기이지만 형태 위주의 표기는 통시적인 사실을 내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표기와 발음에만 초점을 두는 음운 변동의 논의는 오류의 문제를 언제나 안고 있다. 따라서 규범 문법 내의 음운 변동 개념이 지니는 공시성과 통시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 같다는 지적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영문 초록

After the answers for the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ad been released, Question No. 12 in the Korean Language section fell under controversy due to more than one correct answ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why such controversies arise. There was a correct answer for Question No. 12 confirmed by the test authority, but several blogs and linguistic websites defended the students who selected another answer rather than the correct answer in Question 12 stating that they had in-depth knowledge on the phonological variation of Korean grammar. Could this be true? Did the test makers make a mistake creating a trick question in order to control the degree of test difficulty? I reviewed both the Prescriptive Grammar and Descriptive Grammar simultaneously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Within this question there were problems inv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emes and let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ken and written words, the diachrony and synchrony of rules, and the principle of writing system. In other words, all these issues have been condensed in the the wrong answer “꽂힌[꼬친]”, and it was revealed that these problems were entangled to give rise to the controversy of multiple correct answers. By examining these problems one by one, I was able to find the gap between the Prescriptive Grammar and Descriptive Grammar, and recognize the dire need to reflect the knowledge of Descriptive Grammar in Prescriptive Grammar of Korean language. I concluded that the test makers might have designed this question as a trick question to control the test’s difficulty level and to simultaneously test the students on the 표준발음법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 and the knowledge of 한글맞춤법 (Hangul Spelling System). Unfortunately, in the case of ‘꽃힌’,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chose the wrong answ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Aspiration and Palatalization occur regarding the Syllable-final Neutralization, against the intentions of the test makers. In fact, it is not eas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rocess of Aspiration in the 표준발음법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 and the process of Palatalization in the 한글맞춤법 (Hangul Spelling System) from “꽃 힌”. In fact, because the intention of the test makers was clear, the controversy ended as just a controversy, and the answer was confirmed. As an expert of Phonology, I believe the judgment of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was accurate. However, as we have seen above, the problem is that the nature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the Prescriptive Grammar is distorted due to the Morphophonological Notation. This is because the phonological variation of the Prescriptive Grammar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Diachrony and Synchrony. It is a vicious circle, but the results are necessary and inevitable because the Morphophonological notation often contains diachronic facts. The discussion of phonological variation, which focuses only on notation and pronunciation, always has a problem of erro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achrony and Synchrony of the concept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the Prescriptive Gramm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발화의 산출과 분석의 문제
3. 음소적 원리와 형태음소적 원리의 문제
4. 음운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의 문제
5. 규범 문법의 음운 변동
6. 맺는 말 - ‘꽂힌’에 대한 오분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아(Gyeonga Kim). (2017).규범 문법에서의 ‘음운 변동’에 대하여 * - 수능문제와 관련하여 -. 인문논총, 31 , 7-31

MLA

김경아(Gyeonga Kim). "규범 문법에서의 ‘음운 변동’에 대하여 * - 수능문제와 관련하여 -." 인문논총, 31.(2017): 7-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