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

이용수 632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East Asian Folktal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Story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Korea, Vietnam, and Thailand
발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저자명
하은하(Eunha Ha)
간행물 정보
『인문논총』31, 73~11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교육 교재에 수록된 <나무꾼과 선녀> 설화 텍스트의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고, 문화교육을 위해 <나무꾼과 선녀> 에서 강조하는 내용 요소의 타당성 및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수탉유래형’ <나무꾼과 선녀>를 베트남과, 태국의 것과 비교하였다. 또 교재에 수록된 설화 텍스트의 특징 분석을 위해, 입말체 서술 및 학습 어휘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행 한국어교육에서의 <나무꾼과 선녀>를 활용한 전통 문화 교육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재 수록 수탉유래형 <나무꾼과 선녀>는 승천한 선녀를 쫓아 나무꾼이 천상에까지 가지만 끝내 부부로 함께 살지 못한다는 점이 베트남의 와 매우 닮아 있었다. 반면 한국의 구비전승 유형 중 많은 편수를 차지하는 ‘천상시련극복형’은 태국의 <프라쑤톤 낭마노라>와 닮아 있었다. 태국의 설화는 천상시련극복 형과 함께 천상계의 여자와 지상계의 남자의 결합이 처음에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지상계 존재의 노력으로 정식 부부로 인정받게 된다. 둘째, 수탉유래형 <나무꾼과 선녀>을 활용한 문화교육의 논의를 검토하였다. 문화교육에서는, <나무꾼과 선녀>에서 한국 고유의 전통 특히 가족문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대가족제도와 모성애, 효도를 강조하고 있었다. 그런데 불교의 색채가 강한 태국설화에서도 대가족은 등장한다. 모성애 역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특정 문화의 고유성이라 보기는 어렵다. 또 한국의 수탉유래형에 나타나는 효도는 매우 독특 하지만 그것은 특정 시기 한국 문화의 속성일 뿐 한국 문화 전체의 특성으로 일반화시키는 것은 무리라 보았다. 셋째, 문화교육은 문화교류와 전파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탉유래형 <나무꾼과 선녀>의 내용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나 지속적인 흥미를 이끌어내기에 역부족이라 보았다. 넷째,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나무꾼과 선녀>의 형식적 특징에 대해 살폈다. 교재에서는 구어체로 설화 전문을 요약 재구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구어체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 구연현장을 본떠 흥미를 유발하려 한 것인 바, 외국인 학습자들의 인지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 보았다. 또 교재에서 사용하는 구어체는 오늘날 실제 의사 소통 현장에서 사용되는 구어체와도 배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국의 전통문화를 교육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현대에서 활용 빈도수가 낮은 어휘들을 배워야 하는 것 역시 어휘 이해도와 효용도 면에서 떨어진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수탉유래형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때에는 다른 유형 들과 함께 제시하거나 비슷한 문제를 다루지만 다른 차원의 문제 해결 방식을 보이는 설화들과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Korean textbooks and to discuss its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content elements emphasized in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for cultural education. For those purposes, I focused on the fact that it is a “rooster- derived type (tragic ending)” among the types of oral tradition and compared this with the Vietnamese and Thai versions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addition, I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vel of vocabulary learning and the fact that the contents in the textbook are made in the form of spoken language. Finally, through this tale, I examined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n culture emphasiz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First, the rooster-derived typ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s very similar to the Vietnamese where the woodcutter followed the ascending beauty up to heaven, but they could not be married to live happily as a husband and wife. On the other hand, the “overcoming the heavenly trials”-type, which accounts for a large number of verbally told stories in Korea, resembled the “Prasuton Manorah” of Thailand. The Thai folk story was about overcoming the heavenly trials depicting the union of a woman of the heavenly world and a man of the earthly world, which at first met failure, but eventually they were recognized as a formal couple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earthly being. Second, I examined the discussion of cultural education using the rooster-derived typ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Through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emphasizes the extended family system, maternal love, and filial duty to explain Korean tradition, especially the Korean family culture. However, in the Buddhist Thai tale, a large family also appears. Also, maternal affection, although there are some slight differences but it is difficult to say it is unique to a specific culture. In addition, the filial piety that appears in the rooster-derived type of the Korea story is very unique, but it is a quality of Korean culture at a certain period,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generalize it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s a whole.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ultural education has a role in cultural exchanges and propagation, the contents of the roosterderived typ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s not enough to attract ongoing interest or a positive image from foreign learners. Fourth, I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Korean textbooks. The version used in the textbook was reconstructed in a colloquial way. However, the colloquial language was intended to induce children’s interest by utilizing storytelling, but it did not consider the cognitive abilities of foreign learners. In addition, the colloquial language used in the textbooks had a problem that it is also against the colloquialism, which is used in actual communication sites today. In addition, learning vocabularies of which the frequency of practical use is low in today’s modern society to educa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also inferior to the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utility. Finally, regarding the use of rooster-derived type in the educational field, I suggested that it should be presented with other types or compared with different tales containing similar problems or other types of problem solving methods.

목차

1. 서론
2. 동아시아 <나무꾼과 선녀> 유형의 양상들
3. 현행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나무꾼과 선녀>의 문제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은하(Eunha Ha). (2017).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 인문논총, 31 , 73-116

MLA

하은하(Eunha Ha).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 인문논총, 31.(2017): 7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