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말 서울 동막 객주의 미곡 거래 * - 金相敏 집안의 장부 日記와 長冊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401

영문명
The Grain transactions of Seoul Dongmak brokers [gaekju] in late nineteenth centur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홍성찬(Hong, Sung-Cha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7집, 173~20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울 동막 객주 김상민 집안에서 작성한 장부 日記(1894~1899)와 長冊(1889~1899) 을 이용하여 19세기말 서울 한강변 객주의 미곡 거래 실태를 살펴보았다. 중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말 서울 동막 객주의 미곡 반입 방식은 20세기 초와 같았다. 선운업은 화주와 선주가 분리된 근대 선운업의 영역에 속하였고, 산지에서는 서울로 향하는 배가 수시로 출발하 였으며, 운임은 화물 한 단위당 얼마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화주는 언제든지 거래처 객주를 바꿀 수 있었다. 둘째, 한강변 객주는 경기, 충청, 황해, 전라 등 전국 40여 곳에서 올라온 미곡을 취급하였다. 이들 미곡은 산지(출하지), 품질 (등급, 보관햇수, 포장상태), 수급사정 등에 따라서 가격이 수시로 변했다. 가격기구가 제대로 작동한 것이다. 이에 객주들은 미곡 상품을 산지와 품질에 따라서 세분하고 그 각각에 고유의 이름을 붙여 장부에 기재하고 거래도 하였다. 19 세기말 서울 한강변 마포, 동막, 서강 등지는 전국에서 다양한 브랜드의 미곡 상품이 올라와 자유롭게 거래되며 각각의 시세를 형성하여 간 일종의 곡물거래소(grain exchange) 같은 곳이었 다. 그 점에서 19세기 후반에 미곡의 운송, 보관, 유통시스템이 붕괴하여 지역 간 미곡거래와 전국 규모의 미곡시장 통합이 와해되었다는 주장은 재고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ice transactions of brokers [gaekju] operating on the banks of the Han River in late nineteenth century Seoul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account books, Ilgi (1894~1899) and Jangchaek (1889~1899), of the Seoul Dongmak broker family of Kim Sangmin. Several important discoverie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rice carrying methods of the Seoul Dongmak broker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shipping industry utilized the modern shipping distinction of shipper versus shipowner, and boats departed with high frequency from the producer areas for Seoul with freight charges fixed for each unit of cargo. Also, the shipper could change his transacting broker whenever he wished. Second, the brokers situated on the banks of the Han River received rice coming from about 40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yeonggi, Chungcheong, Hwanghae, and Jeolla provinces. The brokers continuously adjusted their prices based on the area of production (shipping point of origin), quality (grade, time in storage, condition of packaging), and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The price mechanism was fully operating. These brokers separated their rice product based on production area and quality and attached a distinct name to each product, which was recorded in the account books and used for transactions. In late nineteenth century locales like Mapo, Dongmak, and Seogang, diverse brands of rice came from around the country and were traded freely. As market prices for each rice brand were established, these locales functioned like a type of grain exchange. Consequently, the argument that the trans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of rice completely collapsed or that inter-regional rice transactions and the national-scale rice market disinteg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needs to be reconsidered.

목차

1. 서언
2. 자료에 대하여
3. 미곡 거래
4.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찬(Hong, Sung-Chan). (2016).19세기말 서울 동막 객주의 미곡 거래 * - 金相敏 집안의 장부 日記와 長冊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77 , 173-206

MLA

홍성찬(Hong, Sung-Chan). "19세기말 서울 동막 객주의 미곡 거래 * - 金相敏 집안의 장부 日記와 長冊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77.(2016): 173-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