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이용수 248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tudies dealing with the “Koguryo Tablet at Jian(集安高句麗碑)” in Korea, China, and Japan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여호규(Yeo, Ho-kyu)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7집, 125~17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集安高句麗碑[集安碑]는 2012년에 발견된 이래 100여 편의 글이 발표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다만 正面의 218자 중 판독상 異見이 없는 글자는 140여자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판독과 관련해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는데, 특히 韓中 양국학계의 견해가 대립하는 부분이 많다.가령 Ⅶ행 4-8자에 대해 중국학계에서는 ‘丁卯歲刊石’이나 ‘癸卯歲刊石’, 한국학계에서는 ‘好太[聖]王曰’ 등의 판독안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견해차는 비석의 건립시기에 대한 異見으로 이어진다. 여러 중국학자들이 ‘丁卯歲刊石’ 판독안을 근거로 장수왕대 건립설을 주장하는 반면, 한국학자들은 ‘[好太聖]王曰’ 판독안을 근거로 광개토왕대 건립설을 주장한다. 비석의 성격에 대해서는 守墓碑說과 非守墓碑說로 대별된다. 守墓碑說은 集安碑를 광개토왕이 역대 왕릉에 건립했다는 守墓碑의 하나로 파악하는 견해이다. 이에 대해 非守墓碑說은 集安碑에 특정 왕릉과 연관시킬만한 표현이 없고, 주로 수묘제와 관련한 일반 법령을 기술했다는 점을 들어 律令碑나 守墓制 宣布碑 등으로 파악한다. 한편 集安碑에는 종전 사료에 보이지 않던 용어나 표현이 다수 확인된다. 이에 여러 연구자들이 이들 용어나 표현을 분석해 고구려 건국설화, 수묘제, 율령제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판독에 대한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연구를 크게 진전시키기 힘들다. 그러므로 韓中 양국의 공동조사를 통해 판독상의 異見을 해소하고, 集安碑를 통해 고구려사를 더욱 풍부하게 고찰할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Koguryo Tablet at Jian [集安高句麗碑: 集安碑]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it was found in 2012. Unfortunately, however, scholars are only agreeing about the nature of around 140 letters out of the total of 218 letters found on the front side of the Tablet. This situation has led to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translation of the Jian Tablet’s contents, and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c communities’ interpretations are particularly clashing. For example, while Chinese scholars argue that the 4th to 8th letters on line Ⅶ should be read as “丁卯歲刊石” or “癸卯歲刊石,” it is widely viewed by Korean scholars as “好太[聖]王曰.” These different interpretations have raised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date of erection of the Tablet. While many Chinese scholars argue that it was erected under King Jangsu (長壽王), Korean scholars contend that it was founded during King Gwang’gaeto (廣開土王)’s reign. Regarding the nature of the Tablet, some believe it was erected to guard a tomb (the “守墓碑說” theory), while others disagree (the “非守墓碑說” theory). The former theory holds that the Jian Tablet was one of the many tablets supposedly erected by King Gwang’gaeto at every royal mausoleum. Meanwhile, the latter theory holds that the Jian Tablet contains no reference relevant enough to connect it with a particular royal mausoleum. In order to move forward, we should aim to resolve the current differences in the translation of the Tablet’s contents. Joint survey projects between Korean

목차

1. 머리말
2. <集安高句麗碑>의 調査 및 判讀 現況
3. <集安高句麗碑>의 建立時期와 性格
4. 建國說話와 守墓制에 대한 주요 爭點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호규(Yeo, Ho-kyu). (2016).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동방학지, 177 , 125-172

MLA

여호규(Yeo, Ho-kyu).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동방학지, 177.(2016): 12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