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이용수 28

영문명
History of Taiwan Literature as the Scenes of Discourse Struggle and Social Movement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양태근(Yang, Tae-Keu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7집, 311~33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만문학사’가 가지는 이른바 대만민족 건설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문제의식을 둘러싸고 본고에서는 대만문학사 를 사회운동과 문학사 서사의 현장이라는 시각으로 그 진로에 대해 짚어 보려고 한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 사를 1) 대만문학사 담론투쟁, 2) 대만문학사와 국가체제화라는 과정에 주목하면서 논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담론투쟁과 국가체제로의 편입을 추진하는 일관된 노력을 운동으로서의 대만 문학사 라고 본다면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라는 관점은 바로 대만문학사 서술 자체에서 보이는 구체적인 선택과 배제의 과정이 모두 실제 로는 서사로서의 대만문학사가 구성되고 형성 되는 전체의 일부분임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과 배제, 충돌과 서사의 일부분을 포착하여 향후 이와 같은 시각으로 대만문학 연구가 가능할 것임을 제안하려고 한다. 대만문학사 는 일종의 사회문화운동으로서의 가능성과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 정치와 민족, 역사 등의 끊임없는 참여 자들이 함께 서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현장이기도 하다. 이 열려있는 현장이면서 운동의 장소인 대만문학사 관련 논의를 통해 우리는 문학과 문학사 연구가 가지는 의미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1) Taiwanese literary history discourse struggle, 2)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tionalization, and tries to grasp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social movement. If these consistent efforts to promote the discourse struggle and its incorporation into the national system is regarded as the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social movement , then the viewpoi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field and scene can be regarded as the actual selection and exclusion process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itself and also It is noted that Taiwanese literary history is the grand part of the whole diverse discourse struggle that is composed and formed in Taiwan until no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aiwanese literature research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by capturing a part of these choices and exclusions, clashes and narratives.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not only shows the possibilities as a kind of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but also an open place where the constant participants of real politics, ethnicity and history are making narrative together. Through this debate on the open field and the place of the movement,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 we can find more concrete and diverse meanings of literary and literary history research meaning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be able to grasp the more specific meaning of literature research and literature history, and find the direction of the new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as the field and scenes of discourse struggle and social moveme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rrative.

목차

1. 서론
2.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사 연구와 의의
1) 대만문학사 담론투쟁
2) 대만문학사와 국가체제화
3.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와 가능성
4.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태근(Yang, Tae-Keun). (2016).‘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동방학지, 177 , 311-333

MLA

양태근(Yang, Tae-Keun). "‘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동방학지, 177.(2016): 311-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