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晉 杜預의 諒闇論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Du Yu(杜預)’s Argument about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Emperor’s Parents in the West Jin Perio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선민(Kim, Sun-mi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6집, 69~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諒闇’이란 은나라 高宗이 父王의 죽음에 3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고(“三年不言”) 모든 정사를 冢宰에게 위임했다는 故事에서 유래한 말이 다. 역사적으로 ‘諒闇’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晉 武帝 泰始10년(274) 모후를 위한 태자의 3년상 服喪 문제를 의론하는 자리에서 두예에 의해 새롭게 조명을 받기 시작한다. 두예의 諒闇論의 내용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은나라 고종의 ‘諒闇’은 葬事를 마치면 바로 상복을 벗는 魏晉 이후의 ‘旣葬除服’을 실천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諒闇을 하면서 “三 年不言”했다는 것은 군주 자신은 信默으로 일관 하면서 일체의 정사를 冢宰에게 위임했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이러한 ‘諒闇’제를 지금 西晉 에 회복해야 한다고 두예는 주장하였다. 두예 양암론의 첫 번째인 은나라 고종의 ‘旣 葬除服’설은 사실상 역사적 고증이 불가능한 두 예의 억설에 불과하여 禮學者들의 의구심을 불러일으켰고, 두 번째의 총재 위임설 또한 국정 공백을 우려한 ‘旣葬除服’의 본래 취지와는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더욱이 西晉은 漢 文帝 이후의 短喪制 특히 曹魏 에서 비롯된 ‘旣葬除服’을 國制로 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예의 의론은 여러 신하들의 동의를 얻어 무제에게 제출되어 재가를 얻었 다. 일각에서는 禮를 위배하고 시세에 영합했다는 비난이 일었지만, 두예는 左傳을 비롯한 전적에서 근거를 찾아 自說을 더욱 보강함으로써 ‘諒闇’의 역사적 실재성을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諒闇의 당위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두예의 양암론은 晉 武帝가 부모의 喪에 3년 동안 의식주 생활을 절제한 이른바 ‘心喪’과 비슷하면서도 본질적으로 무제의 ‘心喪’에는 없는 측면을 갖고 있었다. 3년의 거상기간 동안 信默하면서 총재에게 일체의 정사를 위임하는 輔政 설이 그것이다. 군주 자신이 親政을 하면서 단순히 의식주만을 절제하는 ‘心喪’과, 군주가 3년 동안 不言하며 일체의 정사를 총재에게 위임하는 ‘諒闇’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두예는 그의 양암론에서 무제의 두 차례에 걸친 ‘心喪’을 은나라 고종의 ‘諒闇’에 비정하는가 하면 고종의 東方學志 제166집 ‘諒闇’을 ‘心喪’의 실천으로 표현하기도 하면서 본질적으로 다른 두 용어를 서로 혼용하는 전략을 통해 “三年不言”의 分을 ‘諒闇’과 ‘心喪’의 名 안에 슬쩍 끼워 넣는 데 성공하였다. 그 배후에는 허약한 태자를 위해 미리 輔政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놓으려는 무제의 遠慮가 깔려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Du Yu (222-284) was involved in an argument about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emperor’s parents in 274. The matter at issue was the question of when the emperor and prince should remove their mourning clothes and what they should do for the remnant of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following removal. At that time, the royal family followed the traditional system of ‘the removal of mourning dress and end of mourning for official affairs just after burial’. Only Wu-di (武帝) practiced ‘in-mind mourning (心喪)’ for the remaining three years of mourning after removal. Du Yu advocated two points in that argument. First, the mourning system which advocated the ‘removal of mourning clothes for official affairs just after burial (旣葬除服)’ had been an old institution from the Shang (商) period. Second, Gojong (高宗) of Shang had practiced mourning in silence for the remnant of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after removal, and had entrusted the prime minister with the pull power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referred to as ‘liangan (諒 闇)’. The new mourning system that combined the ‘removal of mourning clothes just after burial’ and the ‘entrustment of pull power of administration’ was prepared for the stupid Crown Prince, whom Wu-di was very worried about.

목차

1. 머리말
2. 두예의 ‘旣葬除服’論
3. ‘三年不言’과 諒闇論
4. 武帝와 두예의 諒闇論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민(Kim, Sun-min). (2014).西晉 杜預의 諒闇論 연구. 동방학지, 166 , 69-92

MLA

김선민(Kim, Sun-min). "西晉 杜預의 諒闇論 연구." 동방학지, 166.(2014): 6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