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신협운동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study of the Credit Union Movements implement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the agricultural areas of the Wonju region in the 1970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소남(Kim, So-nam)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6집, 323~367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2년 8월 남한강유역의 대홍수를 계기로 창립된 재해대책사업위원회에 의해 3개도 13개 시·군, 80~90여개 농촌부락과 10여개 탄광지부를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신협운동이 전개되었 다. 이 글은 1970년대 전반 정부에 의해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고 있던 기반 위에서 1973년부터 災害委에 의해 농촌지역에서 남한강유역수해복 구사업과 한우지원사업, 원주원성수해복구사업 등을 통해 설립·운영된 농촌신협의 설립과 운영 과정, 농촌신협과 농협·마을금고 등 관제협동조 합과의 관계, 농촌신협과 가톨릭농민회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1970년대 災害委는 남한강사업과 한우지원 사업 관할 농촌부락에서 일찍부터 신협의 설립 을 추동하고 있었으나 1970년대 전반 災害委의 주요 활동부분은 부락개발사업을 통한 농촌개 발운동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부락개발운동이 침체에 놓이면서 災害委는 본격적인 신협운동의 전환을 모색하게 되었으 며, 이에 따라 부락개발사업 대상부락에 대한 신협운동은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그 결과 1970년대 말 災害委 관할 농촌지역에서 54개의 농촌신협이 설립·운영될 수 있었고, 이 중 14개 신협이 재무부의 인가를 받고 있었다. 당시 농촌 신협은 대체로 그 자산과 조직이 소규모였기 때문에 신용사업을 넘어 생산과 유통, 소비와 구판의 업무까지 취급하기 어려웠으나 농협이 농민을 위한 협동조합으로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면서 부락별로 설립된 농촌신협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1970년대 災害委의 추동을 받아 농촌과 광산 지역 전개되었던 민간 주도 협동조합운동의 핵심은 신협운동이었다. 당시 신협운동은 그 과정 에서 관제농협의 민주화를 추동했을 뿐만 아니라 관 주도 새마을운동의 전개에 따라 ‘마을회 의’나 대동계, 마을금고 등을 중심으로 부락 내권력을 유지·행사하던 기존 권력구조를 신협임 원들이 주도해 나가면서 부락 내 정치구조의 변동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1970년대 농촌부락에서 신협을 통해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다는 것은 정부 주도의 새마을운동이 전개되는 기반위 에서 부락단위에 기반한 농민 주도의 농촌개발 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핵심체였다는 점에서 1970년대 災害委에 의해 전개된 신협운동은 역사적·사회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영문 초록

Established in response to the Great Flood of the Namhan River basin in April 1972,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headed the civil-led Credit Union Movements with the participation of about 80 or 90 rural villages, 13 cities and districts in 3 provinces, and more than 10 mining branche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agricultural credit unions found and managed by the restoration projects for the flood-hit areas of the Namhan River basin and Wonju-Wonseong regions, the Korean Beef Cattle Support Program conduct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agricultural areas, and governmental credit unions such as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or village funds. It also explores the credit unions’ connection with the Catholic Society of Farmers under the New Community Movement (Sae-ma-eul Undong) put in place by the government. In the 1970s,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propelled the establishment of credit unions in the agricultural villages where restoration and support projects were being conducted. In the early 1970s, the Committee’s activities mainly centered around Agricultural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as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came to a halt in the mid-1970s,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planned the switchover of its activities to Credit Union Movements. As a result, these new types of movements were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villages where the development projects had once taken place. In the late 1970s, the change enabled 54 agricultural credit unions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ese rural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and 14 of them were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Finance. At the time, those credit unions only had a limited budget and a small constitut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marketing all on their own; therefore, they could only operate credit banking. However, as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could not properly act as a credit union for farmers, those agricultural credit unions in the villages needed to fulfill that role. The civil-led cooperative movements overseen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in the agricultural and mining areas of the 1970s had the Credit Union Movements at their core. The movements led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nd also effected a significant power shift in villages, as the officials of the credit unions replaced the old power structure including the village councils, village funds or county fraternity formed by the government-led Sae-ma-eul movements. The fact that cooperative movements were conducted via credit unions in the agricultural areas while Sae-ma-eul movements were in place, was a key driver of the village development movements led by farmers on the basis of village units. This credit union movement led by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Committee h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ignificance.

목차

1. 서론
2. 농촌신협의 설립과 구조
1) 원주그룹의 협동조합론과 신협운 동의 전개
2) 농촌신협의 설립과 구조
3. 농촌신협의 운영과 특징
1) 농촌신협의 운영구조
2) 농촌신협의 특징
4. 농촌신협과 관제협동조합
1) 농촌신협과 관제협동조합
2) 농촌신협과 가톨릭농민회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남(Kim, So-nam). (2014).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신협운동 연구. 동방학지, 166 , 323-367

MLA

김소남(Kim, So-nam). "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농촌신협운동 연구." 동방학지, 166.(2014): 323-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