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이원화 * ─ 번역가 양건식과 박태원의 원근법

이용수 130

영문명
Divergence and Dual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s ─ Perspectives on Yang Geon-sik and Park Tae-won as Translator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진영(Park, Jin-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6집, 227~2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건식과 박태원은 식민지 시기의 중국문학 번역이 지닌 역사성을 선명하게 보여 주었다. 중국문학을 외국문학으로 인식한 최초의 전문 번역가인 양건식은 백화소설과 문학혁명론의 번역을 통해 중국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을 근대적 으로 전환시켰다. 양건식은 서양문학과 중국문 학, 고전과 근대문학, 중역과 직역을 넘나들면서 세계문학 속에서 중국문학을 사고했다. 박태원은 1930년대 말에 의화본과 역사소설 중 일부를 번역하여 소설집으로 재편성했다. 또 문언 단편 가운데 환상적이면서도 교훈적인 이야기를 뽑아 동화로 번역했다. 박태원의 번역은 출전이 된 원작의 고유한 성격과 언어의 차이를 제거하고 이질적인 체재와 형식을 결합시켰다. 박태원의 번역 태도와 방법은 백화 단편이나 야담을 중국 소설로, 문언 단편을 중국동화로 편입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고전 번역이라는 의식에서 출발한 양건식이 야담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반면에 박태원은 고전의 권위를 해체하고 이야기의 흥미에 초점을 맞추어 원작을 개편하거나 의역했 다. 박태원의 중국문학 번역은 1930년대 말의 문학사적 조건 속에서 성립된 산물이며, 1960년대 이후 중국문학 번역의 이원화와 고전 위주의 상업적 전집 출판 붐을 예고했다.

영문 초록

Yang Geon-sik and Park Tae-won clearly showed the historicity of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s in the colonial period. Yang Geon-sik was the first professional translator to perceive Chinese literature as foreign literature, and through translations of colloquial Chinese novels (báihuà xiǎoshuō) and his theory of the Literary Revolution, he changed and modernized the perception of Chinese literature. Yang Geon-sik apprehended Chinese literature with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by moving in and out of Western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classic and modern literature, second-hand translations (double translations) and direct translations. Park Tae-won translated parts of nǐhuàběn (novels written in the style of story-telling scripts) and historical novels that he reorganized into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n the late 1930s. Additionally, within classical Chinese (wényán) short stories, he chose fantastical and didactic stories to transpose into children’s fairy tales. The translations of Park Tae-won removed the innate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work, and combined disparate systems and formats. His translation attitude and method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colloquial Chinese (báihuà) short stories or ya-dam (unofficial versions of history) into Chinese novels, and of classical Chinese (wényán) short stories into Chinese children’s fairy tales. While Yang Geon-sik, who started from a perspective of classic translation, was unable to break away from the mold of ya-dam, Park Tae-won deconstructed the authority of the classics and reorganized or liberally translated the original works by focusing on the more interesting aspects of each story. The 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 of Park Tae-won was a product of the historical literary conditions of the late 1930s, and it heralded the dual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publishing boom in commercial collections of classics after the 1960s.

목차

1. 소설가 백화 씨와 번역가 구보 씨
2. 양건식과 중국문학이라는 것의 분립
3. 박태원과 두 갈래의 중국문학
4. 금고기관과 요재지이 번역의 계보
5. 지나를 둘러싼 상상력의 운명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영(Park, Jin-Young). (2014).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이원화 * ─ 번역가 양건식과 박태원의 원근법. 동방학지, 166 , 227-254

MLA

박진영(Park, Jin-Young). "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이원화 * ─ 번역가 양건식과 박태원의 원근법." 동방학지, 166.(2014): 227-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