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이용수 193

영문명
The Characteristis and Siggnificance of Shuidonggou Upper Palaeolithic site in China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최철민(Cheolmin CHOI):펑페이(彭菲)(Fei PENG) 까오싱(高星)(Xing GAO)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5호, 59~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 영하회족자치구(宁夏回族自治区)에 위치하는 수이둥거우(水洞沟,SDG) 유적의 특징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중국 북방 지역 후기 구석기시대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이둥거우 유적은 1923년 중국에서 처음 확인된 구석기 유적으로 단구, 황토 고원과 같은 지형 환경, 석기 제작 기술 및 기원 그리고 수렵채집민 이동 및 환경 적응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수이둥거우 유적군에서 모두 12개 지점이 발굴조사 되었다. 과거에는 처음 확인된 1지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2지점에서 매년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자료가 확인되고 있다. 그 외 지점들은 조사기간 및 면적에 있어서 소규모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1, 2지점과 비교하면 자료가 빈약하다. 수이둥거우 유적의 단구 및 지층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마다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유적군이 제2단구에 분포한다는 것과 플라이스토세 후기 늦은 시기에 형성된 황토층에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되고 홀로세 시기에 형성된 하천 퇴적층에서 신석기시대 유물층이 확인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반면 각 지점마다 석기 유형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1, 9, 12지점에서는 돌날 또는 잔돌날 유형이 나타나고 그 외 지점에서는 작고 불규칙적인 격지, 잔손질 도구와 같은 중국 북방 지역의 후기 구석기시대 특징이 나타난다. 수이둥거우 유적군에서는 이러한 석기 유물뿐 만 아니라 다량의 타조알조각을 투공한 장식품도 확인되며 고인류가 불을 사용한 유구 주변에서는 동물뼈가 다량으로 출토되기도 한다. 유적군 연대값에 있어서 측정 방법과 표본의 차이로 불확실한 점은 존재하지만 하층 유물층이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층이라는 것에는 논쟁이 없다. 수이둥거우 유적군의 대략적인 유물층 시기는 3만 5천 년 전에서 2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최근 한반도와 북중국 지역에서 새로운 돌날 및 잔돌날 관련 유적이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돌날 제작 기술의 기원 및 현생인류의 확산을 직접 설명할 수 있는 증거가 많지 않다. 따라서 중국에서 확인되는 구석기시대 자료를 활용한다면 넓은 공간적 배경에서 두 지역의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당시의 기후 환경, 수렵채집민의 이동성, 유물 분포 범위 등과 같은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uidonggou site, which is located at the Ningxia Autonomous Region of China, and to understand the Upper Paleolithic in North China. The Shuidonggou site was first discovered in China in 1923,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date including the lithic manufacturing techniques,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such as loess plateaus, mobility of hunter-gathers;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 So far, all 12 localities have been excavated. In the past, SDG1(locality 1) was given focus, but recently, excavation has been conducted mainly in SDG2(locality 2) every year. Although there is a disagreement among the topographical researchers of the Shuidonggou site, there is no dispute as to how the sites were distributed on terrace 2(T2), how the Upper Paleolithic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loess layers in the late Pleistocene period, and how the Neolithic artifacts were found in the river sediments during the Holocene period. There is a different lithic assemblage for each locality. Blades and microblades assemblages appear in locality 12. In other localities, the features of the Upper Paleolithic of North China appear such as small, irregular flakes, and retouch tools. Not only these lithic artifacts, but ornaments made by piercing a large amount of ostrich eggshells were also identified, and animal bones were also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around functional areas where hunter-gatherers used hearth. There is uncertainty in regard to its period due to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 methods and materials in age-dating techniques, but there is no controversy that the lower cultural layer is considered remains of the Upper Paleolithic. The approximate cultural layer dating is estimated to be 35,000 to 20,000 years ago. Despite blade and microblade artifacts have been found in North China. There is not much evidence to explain the origins of blade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proliferation of modern huma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use of Paleolithic data in China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comparative studies on a wide spatial background, and enables a comprehensive analysis on climate environment, mobility of hunter-gatherers, distribution range of artifacts, etc.

목차

Ⅰ. 서론
Ⅱ. 지리적 위치
Ⅲ. 수이둥거우 유적 연구사
Ⅳ. 유적 지형 및 지층
Ⅴ. 출토 유물 구성 및 특징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철민(Cheolmin CHOI):펑페이(彭菲)(Fei PENG),까오싱(高星)(Xing GAO). (2017).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한국구석기학보, (35), 59-80

MLA

최철민(Cheolmin CHOI):펑페이(彭菲)(Fei PENG),까오싱(高星)(Xing GAO).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한국구석기학보, .35(2017): 5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