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구 월성동 유적으로 본 한⋅일 세석기문화

이용수 307

영문명
Microlithic culture of Korea and Japan area based on Analysis of Wolseongdong site, Daegu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5호, 35~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시아 동쪽에 위치한 한반도와 일본의 세석기문화는 ‘쐐기형’ 세석핵의 석기군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시대 이후 급속히 퍼져 나갔다. ‘쐐기형’ 세석핵은 몸체를 양면 또는 단면으로 손질하여 뒤쪽 혹은 밑 가장자리에 능선을 지니는 것이 특징적인 세석기 석기군의 한 형태이며, 한반도와 일본의 동북지역, 동해안변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세석핵은 크게 4개의 형태로 분류되는데, 그 중 장축 방향으로 세석인 떼기를 실시한 쐐기형 세석핵(Ⅰa형)은 대구 월성동 유적에서 양호한 퇴적 상태로 다량 출토되어 한반도의 세석기 문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유적 출토 Ⅰa형 세석핵을 분석하여 세석인 제작을 중심으로 일련의 석기 제작 과정을 검토한 결과, 이 석기군은 같은 쐐기형 세석핵 중 단축방향으로 세석인떼기를 실시하는 Ⅰb형과 기술 형태적 특징뿐만 아니라 석기 제작과정, 몸체 운용방법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Ⅰa형 세석핵을 이용한 세석인 제작기술의 특징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절대연대 측정결과로 보면, 본 석기군은 일본 홋카이도지역에서 약 21,500∼18,500BP의 값을 얻어 일본에서 가장 먼저 출현한 세석기 석기군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한반도에서는 25,000∼20,000BP 사이에 연대가 집중되며, 일본지역과 비슷한 시기에 본 석기군이 출현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한반도와 일본지역에서 쐐기형 세석핵의 석기군이 Ⅰa형 세석핵을 토대로 출현⋅확산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며, 최종빙하기 최성기(LGM)에 급속히 일어난 환경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채택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세석인 기술의 출현은 세석인을 이용하는 집단의 이동, 혹은 정보의 전달과 더불어 기존 집단에 의한 기술의 수용과 운영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세석기문화의 세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반 유물을 포함하여 석기군의 작업 내용을 더 자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Late Paleolithic of Korea-Japan region where is situated at the eastern extremity of Asia, industry of wedge-shaped micro cores were spread out quickly. These micro cores were made for bifacial or unifacial retouched, and often prepared platform by spall flaking technology. The micro cores from Korea-Japan region are classified into 4 types; type Ⅰ as wedge-shaped, type Ⅱ as boat-shaped, type Ⅲ as conical-shaped, and type Ⅳ as burin-shaped. And these microcores are also subdivided into 8 types based on process of core preparation and microblade flaking. Among them, type Ⅰa which is operated microblade flaking from direction of longitudinal axis were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from Wolseongdong site at Daegu city in Korea. This provide so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microblade production and appearance of microlithic culture in this area. And this type of micro cores are found around Hokkaido, North-Western Kyushu in the Korea-Japan area. And some sites are comprehensible to understand a series of microblade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dealt with microblade assemblage of type Ⅰa, which is operated microblade flaking from direction of longitudinal axis in Korea-Japan area. The author reexamined its typological definition and analyzed technological structure, in the purpose of finding out its strategy of coping with LGM climate and environments of this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대구 월성동유적의 세석기
Ⅲ. 한반도의 쐐기형 세석핵
Ⅳ. 일본지역의 쐐기형 세석핵과 작업과정
Ⅴ. 쐐기형 세석핵의 전파 과정과 변화 양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 (2017).대구 월성동 유적으로 본 한⋅일 세석기문화. 한국구석기학보, (35), 35-58

MLA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 "대구 월성동 유적으로 본 한⋅일 세석기문화." 한국구석기학보, .35(2017): 3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