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 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이용수 106

영문명
Recent advances of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study in Asia: Estimating the lithic assemblages of third and fourth cultural layers in the Locality 6 of the Suyanggae Site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佐藤宏之(Hiroyuki SATO)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5호, 5~2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양개 제6지점의 최근 발굴조사에서 많은 대형 돌날과 슴베찌르개가 제4문화층(39~44ka)에서 출토되었고, 소량의 좀돌날몸돌이 제3문화층(34~36ka)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석기갖춤새는 현생인류의 동아시아로의 확산과 관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시아의 후기구석기시대 개시기(IUP, Initial Upper Paleolithic)에 대한 진전된 연구 성과와 좀돌날석기의 기원에 대한 기술적 연구에 기반하여, 수양개 유적 제6지점 제3⋅4문화층이 갖는 고고학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현재 IUP는 동유럽에서 동북아시아까지 북유라시아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연대는 35~50ka 이다. IUP 이후 지역적 변이가 크고 주요 석기 형식의 차이가 각 지역에 따라 다양하여, IUP를 단일한 문화 양상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그러나 모든 IUP는 후기구석기시대 첫 단계에 속하고, 중기구석기적인 석기 기술이 남아 있으면서도 돌날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어 현생인류 확산 과정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석기갖춤새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Zwyns (2012)는 알타이의 IUP를 상세하게 분석하여, IUP는 중기구석기시대 도구 형식의 유지 및 용량이 감소하는 대⋅소형 돌날기법 등 2가지 요소가 병존하는 Kara-Bom 전통(40~44ka)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중형의 돌날기법과 작은 돌날⋅좀돌날기법이 보이는 EUP(Early Upper Paleolithic)의 Ust’ Karakol 전통이 이어진다고 하였다. 수양개 제6지점 제4문화층에서 나온 일련의 용량 감소형의 대형 돌날기법은 알타이의 IUP와 공통되는 특징인 반면, IUP에 슴베찌르개는 나오지 않는다. 모비우스 라인으로부터 알타이 IUP를 포함한 서부 유라시아에는 IUP의 돌날떼기 기법을 발생시킨 르발루아 기법의 무스테리안이 존재하지만, 한반도를 포함한 동부 유라시아에는 무스테리안이 분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6지점에서 나온 대형 돌날기법은 북부지역으로부터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제3문화층에서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그룹에 속할 좀돌날몸돌이 출토되었다. 좀돌날몸돌은 알타이 EUP 표준 석기의 하나이며, 레반트, 이란, 인도, 스리랑카의 후기구석기시대 전반기에 존재한다. 인도와 스리랑카에서는 좀돌날이라기보다는 작은 돌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형태상으로 불안정하지만 투창의 부품이 아닌 소형의 돌날 찌르개의 몸체였을 가능성이 높다. 본문에서 언급했듯이 작은 돌날/좀돌날이 40ka를 거슬러 올라가는 예도 보고되었으나, 알타이 IUP에는 좀돌날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Zwyns의 가설이 옳다면 이 오래된 그룹과 EUP 사이는 단절된다.

영문 초록

Recent excavation of the Locality 6 of the Suyanggae Site yielded many large blades and tanged points from the fourth cultural layer, dated to 39-44 ka, and some ‘microblade cores’ from the third cultural layer, dated to 34-36ka.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se lithic assemblages are concerned with the event of modern human dispersal into East Asia. So that, in this paper these archaeological meanings are estimated, based on the recent advances of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UP) and the emergence of first microlithic technological studies in Asia. Presently, the IUP is widely distributed from Eastern Europe to Northeast Asia in northern Eurasia, dated to 35-50ka. Since the IUP have large regional variation and main stone tool types are different each area, it cannot be thought that the IUP is a single cultural entity. As all IUP, however, are belong to first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base on the blade technique, in spite of remaining the lithic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 Paleolithic, the IUP is recognized to be first lithic assemblage in the process of modern human dispersal. Recently, Zwyns (2012) analyzed to the Altai IUP in details. He insists that the IUP is Kara-Bom tradition, dated to 40-44ka, which have two types, large and small sized, of blade technologies with volumetric reduction, in spite of preserving the Middle Paleolithic tool types, and consequently, Ust’ Karakol tradition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EUP), having middle sized blade technology and bladelet/microblade technology, continued. Large blade technology with volumetric reduction sequence from the fourth cultural layer in the Locality 6 of the Suyanggae Site is mutual character with the Altai IUP, while tanged points are not found in the IUP. Although, in the western Eurasia including the Altai IUP from the Movius line, there present Mousterian with Levallois technology rising to blade technology of the IUP, Mousterian did not distribute in the eastern Eur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high likely that large blade technology of the Locality 6 was dispersed from the northern regions. From the third cultural layer, ‘microblade cores’, which may be appertained to oldest group in Asia, are unearthed. Bladelet/microblade cores are one of type tools in the Altai EUP and presented in the Levant, Iran, India and Sri Lanka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lthough, in India and Sri Lanka, bladelets can be called rather than microblades and these are unstable morphologically, it is high likely that these are blanks for small bladelet points with retouched base, not for composite thrown spears. While bladelet/microblade being older than 40 ka reported as mentioned above regions, if Zwyns’s hypothesis, which the Altai IUP have no microblade technology, is correct, there present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se old one and EUP.

목차

1. はじめに: スヤンゲ遺跡第6地点
2. 現生人類のアジア拡散研究
3. 考古学的課題の検討
4. 初期後期旧石器時代IUPとアル タイの中期/後期旧石器時代の移行過程
5. IUPの起源
6. 細石刃技術の起源
7. 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再考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佐藤宏之(Hiroyuki SATO). (2017).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 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한국구석기학보, (35), 5-20

MLA

佐藤宏之(Hiroyuki SATO). "アジアの後期旧石器時代開始期研究の現状と課題: スヤンゲ遺跡第6地点第3⋅4文化層石器群を考える." 한국구석기학보, .35(2017): 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