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관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수 137

영문명
Judg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노동일(Noh, Dong-Ill)
간행물 정보
『경희법학』제47권 제2호, 9~4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해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뒤 현직 판사들이 페이스북(Facebook)에 현 정권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이후 법관의 SNS 사용을 둘러싼 논란이 커졌다. 이에 따라 소집된 대법원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법관들에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공간에서 의견표명은 신중해야 한다’는 내용의 권고안을 내놓았다. 신중한 논의를 거쳐 법관의 SNS와 관련한 사용 기준안도 마련하기로 하였다. 현재 SNS 사용이 보편화 되지 않았고, SNS상에서 법적 문제가 현실 적으로 발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직분에 따른 의사표현의 규제에 대한 논의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여러 주에서 법관의 SNS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였지만, 그러한 사실만으로 국내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할 이유가 될 수는 없다. SNS와 프라이버시 논의, 법관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외국에서의 논의 등을 우리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행동은 기술발전을 따라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법관들로서도 기술의 발전을 외면하고 사회의 전반적흐름에서 고립될 필요도 없고, 또 그래서도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보편화된 서비스로서 SNS를 이용하는 법관들이 많아질수록 뜻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 다. 그래서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가이드라인 제정 등의 논의를 활발히 시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관광부, 국방부의 예에서 보듯 우리나라에서도 각 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 제정이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와 문화를 바탕으로, 법관은 물론 사법부의 특성을 반영하는 가이드라인 제정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영문 초록

judges in Korea have caused controversies by posting political messages on their social networking sites or SNS, such as Facebook and/or Twitter. The Supreme Court has referred one case to the judicial ethics committee to determine whether the judge breached the judicial code of conduct. It was also known that the Court would consider whether guidelines regarding the use of SNS by judges should be established. This article deals with the issues raised by the incidents in several aspects. The first issue i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NS. There is a claim that writing a message on a Facebook page is just like having a chat with your friends in your home. However, there are wide range of agreement that SNS is not a totally private space, but a public space. The second issue is whether a judge enjoys a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like any other ordinary citizens. This author found out that there are divided opinions regarding this issue even in the U.S. where freedom of expression is treated as sacred as it can be.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we may resort to the Basic Principles on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promulgated by the U. N. It is therefore safe to say that judges are like other citizens entitled to freedom of expression, however, in exercising such rights, judges shall always conduct themselves as prudently as possible to preserve the dignity of their office and the impartiality and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is article also examines whether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guidelines regarding the use of SNS by judges. The research revealed that at least 9 states in the U.S. have already promulgated various forms of guidelines for judges’ use of SNS. The main purpose of creating such guidelines in those states is not to suppress the judges’ freedom of expression. Rather they felt the guidelines were needed to protect judges from inadvertently breaching the ethical code of conduct in while using S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the right time to start sincere discussions among judges and scholars to consider establishing SNS guidelines for the judges.

목차

l. 서설
ll. SNS의 정의 및 특성
lll. 가이드라인 제정의 필요성 여부
lV. 법관과 표현의 자유 문제
V. 미국 주별 가이드라인의 분석
Vl.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동일(Noh, Dong-Ill). (2012).법관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경희법학, 47 (2), 9-46

MLA

노동일(Noh, Dong-Ill). "법관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경희법학, 47.2(2012): 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