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콘텐츠 불공정거래행위의 현황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

이용수 131

영문명
Status of Unfair Trade Practices of ‘Contents’ and a Solution for This - Focusing on Broadcast Contents
발행기관
경희법학연구소
저자명
천준영(Chun, Joon-Young)
간행물 정보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제9권 제2호, 75~1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대한민국의 산업구조는 제조물산업에서 콘텐츠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내부에서 소비되는 콘텐츠가 아닌, 대한민국이라는 이유로 소비되는 콘텐츠가 국외에서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류의 인기상승에 기반 한 콘텐츠의 소비가 폭증하고 있다. 음악산업과 더불어 예능 등 방송콘텐츠의 소비의 증가가 뚜렷하다. 콘텐츠란, 앞서 언급한 음악과 방송을 비롯하여 출판 게임 등을 총괄하는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과거의 제조물업과는 달리 반드시 실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보이지 않는 형태로 소비되어 그 수출과 소비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반드시 공정한 거래가 확립되어야 한다. 콘텐츠 산업에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업자, 이를 소비하는 소비자 그리고 이 두 관계를 연결시켜주는 유통업자가 있다. 즉, 삼면관계가 형성되게 된다. 이전의 주요 산업에서는 대규모 공장에서 대규모의 생산물을 저가로 생산해내기 위해 제조업자가 큰 규모를 유지해야 했다. 하지만 콘텐츠 산업은 다르다. 하나의 아이디어만으로도 산업을 시작할 수 있고, 콘텐츠는 반드시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이 필요한 것도 아니며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할 수도 있는 다양성을 가진 산업이다. 따라서 제작업자는 큰 규모일 필요가 없게 된다. 오히려 이렇게 제작된 콘텐츠를 수많은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판매책과 마케팅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그래서 대기업이 유통업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유통업자는 제작물을 단순히 유통하거나, 제작물을 직접 제작하거나 혹은 제작업자들에게 제작물을 제작하도록 하도급형태를 가지기도 한다. 유통업자가 직접 제작하는 경우 에는, 경쟁업자인 소규모 제작업자이 불이익을 볼 수 있으나 콘텐츠산업은 이른바 ‘아이디어 산업’이므로 제작물의 질이 반드시 회사의 규모와 비례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오히려 문제는 제작업자와 유통업자가 서로간의 영역을 나눈 상태에서 거래당사자가 되는 경우이다. 제작업자는 생산된 제작물을 유통하기 위해서, 대규모의 판매책을 가지고 있는 유통업자를 찾을 수밖에 없다. 이때, 유통업자는 판매책을 필요로 하는 제작업자에게 우월한 지위를 갖게 되고, 두 당사자 간의 지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불공정한 거래로 유통업자가 일방적인 폭리를 취하게 된다면, 제작업자는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해 나갈 수 없다. 그렇다면, 콘텐츠산업은 단기산업으로 끝나버리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콘텐츠산업이 자리를 잡아가고, 그에 따라 이미 불공정한 거래관행이 같이 자리잡은 지금 그러한 불공정거래를 시정할 수 있는 공정거래문화가 자리 잡아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콘텐츠산업의 구조를 알아보고, 불공정거래의 일반적 유형을 알아 본 후, 콘텐츠 산업에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 유형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콘텐츠산업에서 주력 콘텐츠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방송콘텐츠에서의 불공정거래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본다. 방송콘텐츠이든 다른 유형의 콘텐츠의 불공정거래유형은 사실상 거래지위의 차이에서 온 다는 점에서 그 해결책은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마지막으로는 콘텐츠의 불공정행위를 시정할 수 있는 해결책에 대하여 사전적, 법적, 사법적, 시장구조적 구제수단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is moving from the product industry to the content industry. That is because consumer spending is rapidly growing abroad because it is not the content that is consumed internally. Consumer spending on the popularity of hallyu has soared. Along with the music industry, there is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including entertainment. The content is the industry that creates economic value-added values such as the music and broadcasting,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music and broadcasting, which is not necessarily viable in the past. Fair transactions must be established to ensure continued growth of these content industries. Content makers include producers, consumers who consume content, and distributors who link to these two relationships. Thus, three relationships become involved. In the previous major industrial industries, manufacturers had to maintain large scale to produce large-scale products at large-scale factories. However, the content industry is different. With only one idea, the industry is able to start the industry, and the content is not necessarily tangible enough to touch the hands, and it is a variety of industries that can be extremely affordable. Thus, manufacturers do not need to be large. Instead,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sell marketing and marketing to many consumers who are able to sell content to a large number of consumers. Therefore, large companies often become distributors. Distribution providers have a subcontracting form simply to simply distribute work, produce work directly, or produce works to manufacturers. If the retail sector is directly produced, the competitor can see the disadvantage of the small intestine, but the content industry i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company. Thus, the problem arises when the contractor and distributor share the boundaries between each other. Producers are forced to look for distributors who have large sums of money to distribute production work. At this point, the distributor holds a dominant position among the manufacturers who need the panmaechaek, resulting in a status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rties. If the unfair trades make one-sided profits unilateral, the producers can not achieve sustained growth. Then, the content industry will end up in a short term industr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fair trade culture where the content of the content is established, and the unfair trading practices are already established, so that fair trade practices can be settled.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industry and knows the general types of unfair trading practices, and examines the type of unfair trade in the content industry. Further, in-depth review of unfair trading practices in broadcasting contents, which are emerging as focal points in the content industry. In fact, the solutions of different types of content differ materially from those of other types of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content or other types of content.

목차

Ⅰ. 서 설
Ⅱ. 문제제기의 배경
Ⅲ. 콘텐츠분야에서의 불공정 거래 현황
Ⅳ. 방송콘텐츠에서의 불공정 거래
Ⅴ. 해결책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준영(Chun, Joon-Young). (2016).콘텐츠 불공정거래행위의 현황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9 (2), 75-106

MLA

천준영(Chun, Joon-Young). "콘텐츠 불공정거래행위의 현황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9.2(2016): 75-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