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나의 서양미술사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에 대한 소고

이용수 429

영문명
A Study on Art History Education through One Introductory Textbook of Western Art History: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안지연(Ahn Ji You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1券 2號, 217~2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사 및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 대표적인 저작인 E. H. 곰브리치의 The Story of Art 의 관점을 분석함으로써 곰브리치 저술의 성과와 한계를 알아보고 하나의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The Story of Art』 의 관점을 분석한 결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미술사를 서술하였고 지각적 선택과 도식화에 의한 재현을 강조하였으며, 정신분석, 상대주의, 역사주의를 비판하고 대안적 설명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을 주요한 특징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곰브리치의 관점은 미술 감상이 인지적 과정의 산물이며 감상에 있어 맥락과 배경을 강조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와 통합하여 이해를 도모하는 등 미술 감상에 있어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도판 선정의 편향성, 인문학과 실증과학을 결합한 점, 도식, 재현 그리고 작가의 의도를 지나치게 강조한 점 등으로 인한 한계가 있으며 포스트모던 사회에 이르러 감상자 중심 교육의 강조와 함께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안으로써 하나의 작품을 다른 관점으로 서술한 해석을 함께 제시하는 방안, 교육대상자의 삶과 연계시키는 방안, 미술사를 인지적으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닌 비인지적 방법, 특히 실기와 결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erspective of E. H. Gombrich in The Story of Art,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he analyses i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Gombrich’s perspective in The Story of Art described Art History as a problem-solving procedure, and emphasized representations by perceptual selection and schematization. It also criticized psychoanalysis, relativism and historicism, and provid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interpretation. Gombrich’s work expanded the paradigm of art appreciation by focusing on cognitive process, context, background,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However, his perspective is also limited due to bias in selection of artwork,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humanities and experimental science, and overemphasis in artist’s intention, schema, and representation. Together with appreciator-centered education brought by Post-modern society, a new perspective for future art education seems required. The present article suggested several future directions such as providing multiple interpret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rying to connect to students’ lives, and combining art history with art practi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The Story of Art』의 관점과 구조
Ⅲ. 『The Story of Art』의 성과와 한계
Ⅳ. 하나의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의 한계에 대한 대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연(Ahn Ji Youn). (2017).하나의 서양미술사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에 대한 소고. 미술교육논총, 31 (2), 217-238

MLA

안지연(Ahn Ji Youn). "하나의 서양미술사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에 대한 소고." 미술교육논총, 31.2(2017): 217-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