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운규의 무성영화와 중간자막의 미학

이용수 203

영문명
Aesthetics of Intertitles in Na, Un-gyu’s Silent Film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서재길(Seo Jae kil)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6집, 305~3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무성영화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서양에서 들어온 영화를 토착적으로 수용할 수있도록 해 준 매개로서의 변사에 주목해 왔다. 이러한 연구는 무성 영화가 지닌 역동성을 밝힌 것은 분명하지만 영화 텍스트 자체의 미학적 가능성과 완결성에 대한 가치판단에 소홀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변사를 통한 영화 수용의 지역적 불균등성, 검열을 넘어서는 변사 연행의 한계성 등이 문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를 ‘텍스트에로의 귀환’이라는 문제의식에서 고찰한 것으로, 주로 나운규의 영화소설에 나타난 중간자막의 유형과 그 미학적 기능을 살폈다. 무성영화 시기 디에게시스에 속하지 않는 내용이 각인된 텍스트 쇼트를 의미하는 중간자막은19세기 말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10년대에 이르면 할리우드 무성영화의 중요한 관습의 일부가 된다.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나운규 영화는 흔히 고전적 할리우드 스타일로 설명되는 작품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이는 중간자막의 활용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중간자막은 디에게시스 내부에서 언표되는 대사자막과 디에게시스 외부에서 표현되는 설명자막으로 양분된다. 나운규의 영화에서는 식별, 시간표지, 서사 요약, 성격제시, 매개된 사유 및 재서술된 대화, 이야기 혹은 담화에 대한 논평 등 할리우드 무성영화 설명자막의 다양한 유형들이 발견된다. 나운규 영화는 할리우드 영화를 단순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예술적 환경에 대한 자각 속에서 영화 예술의 대중성을 구성하는 활극성, 공연성, 희극성 등을 매우 효과적이고 기능적으로 활용하는 과정 속에서 제작되었다. 활극성이 강조되는 장면에서는 대사 자막이 줄어드는 반면, 공연성이 강조되는 경우 영화의 화면에서 노래 가사의 자막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나운규 영화의 웃음은 대사 자막을 통해 해학적인 상황을 연출하거나 등장인물이 상대방이 사용한 대사를 자신의 대사 속에 전유하면서 비틀어서 표현함으로써 유발된다. 이는 대개 대구(對句)를 이용하거나 라임을 활용하는 등의 표현을 통해서 음악적인 효과를 동반하기도 한다. ‘이야기에 대한 논평’의 한 형태로도 볼 수 있는 비유적 표현 나아가서는 상징적 표현은 나운규 영화에서 자막이 매우 뛰어나게 사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나운규 영화에서 두루 발견되는 이 같은 서정적 자막은 이는 어떤 의미에서는 영화의 영역이라기보다는 문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변사의 연행을 통해 수동적으로 지각되는 청각적 정보가 아니라 자막 읽기라는 시각적 인지를 통한 문학적 울림에 호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는 소리로 충만한 극장 속에서 변사에 의한 해설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술적인 관객성과 더불어 자막이라고 하는 시각적인 관람성이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공간 속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Studies of silent film in modern Korea have focused on the benshi, the silent film narrators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audiences’ acception of silent film, a new medium from the West. These studies could at times illuminate the dynamism of silent film, but they neglected to evaluate the aesthetic possibility and self-completeness of the text of the film.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areas in enjoying silent film through benshi can be mattered and there were limits of benshi performances beyond film censorship.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and the aesthetic functions of the intertitles in Na, Un-gyu’s films using his cine-roman texts. Intertitles, shots of texts printed on material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egesis of a film, came into us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ventions in Hollywood films by the 1910s. Na, Un-gyu’s films were influenced by the so-called classical Hollywood style films, including his use of intertitles. There are two types of intertitles: dialogue intertitles, which enunciated within the diegesis, and expository intertitles, which enunciated outside the diegesis. We can find various types of expository intertitles in Na’s films, such as identifications, temporal markers, narrative summaries, characterizations, mediated thoughts or paraphrased dialogues, and commentary on stories or discourses, as also seen in Hollywood’s silent films. Intertitles in Na’s film were influenced by and imitated the classical Hollywood style, but we can also note that Na created the most effective and original intertitles to utilize actions, performances, and comedies that featured the popularity of silent film in colonial Korea at that time. Intertitles of the lyrics of songs were often used for the performances in theaters, whereas dialogue intertitles in action scenes were used less often. Comedies in Na’s films were mostly the effect of dialogue intertitles, which created humorous situations or contained reversed and appropriated expressions uttered by others. Musical effects using rhyming couplets also strengthened the comedic effects of his intertitles. Metaphoric and symbolic expressions, which might be the “commentaries on story,” constitute the best use of intertitles in Na’s films. The figurative and lyrical intertitles found in his various films might belong to the territory of literature rather than that of film, as they appeal to audiences’ visual recognition through reading the literary intertitles rather than to their auditory recognition of information that they received passively through the benshi performance. Ultimately, we can say that silent film in colonial Korea was located in the dynamic space between oral audienceship composed by the benshi performances and the visual spectatorship made by the intertitles.

목차

1. 머리말
2. 나운규 영화의 중간자막과 할리우드
3. 나운규 영화에 나타난 중간자막의 미학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재길(Seo Jae kil). (2017).나운규의 무성영화와 중간자막의 미학. 구보학보, 16 , 305-340

MLA

서재길(Seo Jae kil). "나운규의 무성영화와 중간자막의 미학." 구보학보, 16.(2017): 305-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