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州 曺夏望의 삶과 시세계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172

영문명
A Study on the Life and the Poetic World of Seo-ju Jo Ha-mang :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승용(Lee Seung yo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1輯, 77~11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曺夏望(1682~1747)은 조선후기 少論에 속하는 인물로, 본관은 昌寧, 자는 雅仲, 호는 西州이다. 老·少論간의 黨爭이 가장 치열했던 景宗과 英祖시기에 관직에 진출하였지만, 당쟁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았다. 서울에 거주할 때는 詩社를 결성하여 모임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생애의 대부분을 외직을 떠돌며 유람과 詩文으로 보냈다. 耳溪 洪良浩(1724~1802)에 의하면 그는 經史에 밝고 詩賦에 뛰어났다. 그러나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기질과 강직한 성품, 그리고 少論이라는 黨色으로 인해 크게 현달하지는 못했다. 조하망의 문학적 성취와 관련하여 가장 잘 알려진 것은 鏡浦臺와 관련된 작품이다. 1741년에 江陵府使로 부임하여 경포대를 중수하고 <鏡浦臺上樑文>을 지었는데, 이 작품은 당시에 膾炙되었다. 李裕元(1814~1888)은 林下筆記 에서 경포대와 관련한 역대 작가들의 뛰어난 詩를 소개하면서 조하망이 지은 <鏡浦臺>를 꼽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조하망과 그의 詩文에 대한 관심은 적었으며,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18세기 소론 文人인 조하망의 家系와 生涯 및 西州集 의 편찬과 詩篇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고찰하고, 특히 「模擬錄」에 실린 擬作詩를 중심으로 작품의 성격과 특징을 살폈다. 「모의록」에 실린 시의 특징적인 면모는 車天輅의 樂府新聲 에 수록되어 있는 古樂府와 거의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첫째는 學唐風의 낭만성을 지향하는 작품이 주를 이루는 점, 둘째는 여성 정감이 돋보이는 艶情詩가 다수라는 점, 셋째는 7언 절구의 형식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요약하자면, 「모의록」을 통해 살펴본 조하망은 前代 學唐風의 낭만성을 지향했던 시인들과 그들의 작품을 비판적 시각으로만 바라보지 않았다. 그는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면서도 이전 시대의 문학적 전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唐詩風의 선집류를 학습하고 여기에서 시의 재료를 취하여 唐詩의 시 취향과 특징을 습득하여 자기화의 과정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詩認識과 學詩의 과정은 단순히 模擬에 그치지 않고, 그가 개성적이고 다양한 시 세계를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모의록」에 실린 의작시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하망이 지향했던 낭만적 당시풍이 악부시가 아닌 다른 형식의 시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에 대해서는 살피지 못했다. 이와 관련하여 추후 「모의록」을 제외한 나머지 13편의 「詩錄」과 그 안에 보이는 조하망의 작가의식 및 작품의 주제적 측면에 대한 다각적 고찰은 조하망 시세계의 전모를 논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영문 초록

Jo Ha-mang(曺夏望, 1682~1747) is a person belonging to Soron l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family clan is Chang-nyeong, his courtesy name is Ajung, and his pen name is Seo-ju. He advanced into official positions during the time of Gyeongjong and Yeongjo when the party strife between Noron line and soron line was most intense, but he was not greatly involved in the party strife. When residing in Seoul, he formed a poetry society and participated in the meetings, but he spent most of his life on the sightseengs and poetry and prose wandering in the outside positions. According to Lee-gye Hong Ryang-ho(洪良浩, 1724~1802), he was brilliant in classics and historic records and excellent in poetry and poetic writings. However, it was not able to achieve great eminence due to his temperament not fettered by the secular world and the upright character and the party color of Soron line. What is the most well known in connection with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Jo Ha-mang is a work related to Gyeongpodae. In 1741, he was appointed as Mayor of Gangneung and repaired Gyeongpodae and wrote “Commemoration on Framing Completion of Gyeongpodae”, and this work was widely known to everybody at the time. Lee Yu-won(李裕元, 1814~1888) introduced the excellent poems of writers of all the times related to Gyeongpodae in “Notes of Retired Life”, and he chose “Gyeongpodae” written by Jo Ha-mang. Nevertheless,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Jo Ha-mang and his poetry, and no full-fledged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such facts, I considered in detail the family line of Jo Ha-mang, the literary persom of Soron line in the 18th century and his life, the compilation of “Collection of Seo-ju” and the composition of the book of poems, and, especially, examined the features and characters of the works, focusing on the imitation poetry in “Imitation- Record”. The characteristic appearance of poems in “Imitation-Record” shows the aspect that almost corresponds with old folk songs included in “New Voices of Folk Songs” by Cha Cheon-ro. The first is that the works are mainly oriented towards the romantic nature of the scholarly Tang style, the second is that the majority are love poems that stand out women s feelings, the third is that the majority are the forms of 7 characters phrases. To sum up, Jo Ha-mang examined through “Imitation-Record” did not look at poets and their works, which aimed at the romanticism of the previous scholarly Tang style, onl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hile adhering to a critical viewpoint, by actively accepting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previous era, he learned the anthologies in Tang poetry style, and by taking materials of poetry here and learning the taste and characteristics of Tang poetry, he utilized it as a process of assimilation. The process of these poetry recognition and learning poetry were not just imitation, but became the basis for forming a unique and diverse poetic world. In this paper, I focused only on imitation poetry included in “Imitation- Record”, so I could not examine in what aspect the romantic Tang poetry style which Jo Ha-mang oriented, appeared in the poetry of other forms, not of folk songs. In relation to this, further diverse studies on remaining 13 “Poetry Records” excluding “Imitation-Record” and the writer consciousness of Jo Ha-mang and the thematic aspects in them are also necessary to discuss the whole picture of the poetic world of Jo Ha-mang.

목차

1. 서론
2. 家系와 生涯
3. 西州集 의 편찬과 詩篇의 구성
4. 「模擬錄」 소재 擬作詩의 性格과 그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용(Lee Seung yong). (2017).西州 曺夏望의 삶과 시세계에 관한 일고찰. 대동한문학, 51 , 77-113

MLA

이승용(Lee Seung yong). "西州 曺夏望의 삶과 시세계에 관한 일고찰." 대동한문학, 51.(2017): 77-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