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조선 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수용

이용수 174

영문명
Acceptance of Jin and Yuan dynasty poetry in Hak-Si-Ron of the 19th-century Joseon period :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기완(Kim Ki wa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1輯, 207~24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申櫶(1810~1884), 申緯(1769~1847)와 19세기 조선의 사례를 제시, 분석하면서 향후의 ‘금원대시 수용사’ 재구를 위한 토대를 놓고자 한다. 옹방강-추사 일파와 다산 계열의 학시론을 동시에 참조, 숙지하고 있었던 신헌의 경우를 통해 19세기 조선 학시론에 금원대시가 어떤 식으로 포섭되어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즉 금원대는 학시론에서 명대가 탈락하는 경우에조차 부동의 선택을 받았으며, 소위 조선후기의 종합적 학시론 및 시론을 논하고자 때, 금원대는 송대와 명청대 사이를 이어주는 문학사적 가교로서 빼놓을 수 없는 시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위의 사례 역시 신헌과 마찬가지로 옹방강-추사 일파의 금원대시론의 자장 위에 있으며, 19세기 조・청간 서화고동과 학시론의 결합이라는 복합적 성격의 매체 안에서도 금원대시는 빼놓을 수 없는 한 인자였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manuscript tries to lay the foundations to reconstruct acceptance process of Jin-Yuan dynasty poetry by presenting the cases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Shinhon and Sinwi. The case of Shinhon, who understand and refer to Hak-Si-Ron of Weng Fanggang – Chusa(Kim Jeong-hui) group and that of Dasan(Jeong Yakyong) group simultaneously allow us to understand how Jin and Yuan dynasty poetry was taken into Hak-Si-Ron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This case demonstrated that Jin and Yuan dynasty poetry keep immovable position even when Ming period was dropped out from Hak-Si-Ron. And when trying to discuss so-called comprehensive Hak-Si-Ron and poetics in late Joseon period, Jin and Yuan dynasty poetry acted as mediators between Song Dynasty and Ming & Qing dynasty in the aspect of literary history. Classical works including ol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ak- Si-Ron of Joseon and those of Qing dynasty combined to comprehensive media in the 19th century Joseon period, and the case of Sinwi, like case of Shinhon, which was also influenced by Weng Fanggang - Chusa(Kim Jeong-hui) group’s criticism on Jin and Yuan dynasty poetry showed that Jin and Yuan dynasty poetry was an indispensable adjunct even in this complex media.

목차

1. 들어가며: 왜 금원대시인가?
2. 신헌을 통해 본 19세기 조선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1) 옹방강・김정희 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2) 정약용 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3. 신위를 통해 본 서화고동과 학시론의 결합, 그리고 금원대시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완(Kim Ki wan). (2017).19세기 조선 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수용. 대동한문학, 51 , 207-241

MLA

김기완(Kim Ki wan). "19세기 조선 학시론에서의 금원대시 수용." 대동한문학, 51.(2017): 207-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