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상향의도병太常享儀圖屛》 연구

이용수 237

영문명
Study on a Folding Screen of State Sacrificial Rites, Taesang hyangui dobyeong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손명희(Myeng hee Son)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7호, 60~146쪽, 전체 8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국가 사전祀典과 관련한 각종 내용을 그림과 표, 그리고 글로써 한눈에 살필 수 있도록 제작한 4첩 병풍이 전해진다. 동 병풍은 현재 《제례의궤도병풍》으로 불리는데, 이 논문에서는 해당 병풍이 헌종 대 초 봉상시에서 제작한 《태상향의도병》임을 밝히고, 각종 문헌 자료 및 영조대와 고종 대에 각기 제작된 2종의 『태상지』를 비교ㆍ검토하여 제작경위와 제작자, 병풍의 원 구성과 내용 및 그 성격을 파악하였다. 국가 사전祀典에 대한 정조의 지대한 관심과 염려는 ‘경모궁향의도병’을 비롯하여 종묘와 사직의 향의도병 등 다양한 제의도병이 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왕실의 향사와 관련된 일을 관장한 봉상시에서도 여러 제사의 향품享品과 향의享儀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적은 ‘태상향의도병’을 제작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태상향의도병》은 정조의 명으로 당시 봉상제조였던 서용보(1757~1824년)가 제작한 것에서 연원하였다. 여러 문헌의 기록과 병풍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해당 병풍이 순조 대 말에서 헌종 대 초에 봉상제조를 역임한 이지연(1777~1841년)이 정조 대의 범본을 바탕으로 다시 만든 《태상향의도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병풍은 고종 대까지 봉상시에 전해오다가 고종 대 초에 봉상대제조를 맡은 이유원이 오래되어 상한 것을 보고 다시 장황하여 창고에 보관토록 하여 현재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현재 《태상향의도병》은 4첩 병풍으로 제기ㆍ제물도설, 과저해호용대용지도 및 사향십이월표와 제물단자표를 그리고, 각종 향사 소용 곡식과 제물의 공급을 위한 적전과 공물 내용 및 제물의 봉진ㆍ조리ㆍ진설 방식 등에 대해 적고 있다. 그러나 문헌 기록을 고찰 할 때, 《태상향의도병》은 원래 단묘도설과 각종 제향의 진설도 및 홀기의 내용이 추가적으로 기록된 8첩 병풍으로 추정된다. 《태상향의도병》은 정조가 봉상시에 명한 것처럼 국가 사전과 관련된 각종 내용을 하나하나 그림을 그리고 설명을 붙인 종합병풍이었다. 새로 부임한 봉상시 관원들도 이 병풍을 보고 향사의 준비에서 사후 처리까지 제반 과정을 엄중히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전복들이 전담하는 제수 준비와 조리 및 진설 등에 이르는 실무의 내용까지도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태상향의도병》은 영조 대에 편찬된 『태상지』를 바탕으로 하되, 『국조오례의』와 『춘관통고』등의 전례서를 참조하면서 정조 대에 변화된 제도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고종 대 편찬된 『태상지』권수의 제기와 제물도설 및 과저해호용대용지도는 동 병풍 제1첩의 도설을 그대로 모사하고 있어, 제작 당시 이유원이 창고에 보관한 동 병풍을 참조하였음을 알려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a four-panel folding screen from the Joseon Dynasty depicting state sacrificial rites, which is now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is paper reveals that the screen, which is currently known as Jerye uigwedo byeongpung, had been called as Taesang hyangui dobyeong (太常享儀圖屛) after its production of the early King Heonjong era (r. 1834-1849). Furthermore, this paper studies its production, original composition, and charact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sets of Taesangji (太常誌,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published respectively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r. 1724- 1776) and King Gojong (r. 1863-1907).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s of King Jeongjo’s time (r. 1776-1800). King Jeongjo paid great attention to state sacrificial rites and ordered the production of folding screens with illustrations and texts explaining the procedures of and objects for important sacrificial rites such as those held at Gyeongmogung, the shrine of Crown Prince Sado, Jeongjo’s father;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Sajikdan, the state altar for the gods of the earth and grains. In accordance,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Bongsangsi jejo 奉常寺提調), Seo Yong-bo (1757-1824), created an illustrated folding screen showing all the ritual procedures from preparation to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rites as well as ritual objects. Through comprehensive study of the screen,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found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between 1834 and 1835. Yi Jiyeon (1777-1841), Director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at the time, led its production, modeling on the screen produced by Seo Yong-bo during King Jeongjo’s reign. Originally, the screen might have consisted of eight panels, different from the current four panels, which contain illustrations of ritual vessels and food offerings, diagrams of seasonal substitute foods, and a table of dates for sacrificial rites as well as texts stipulating the various ritual procedures.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documents, it is presumed that the other four panels included illustrations of altars and shrines, diagrams on the arrangement of food offerings on the ritual tables, and texts of the ritual procedures for each rite (holgi).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creen and the two sets of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 is found that while the folding screen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based on the records from King Yeongjo’s era, it reflects changes in systems introduced in King Jeongjo’s time. Furthermore, the similarity of the illustrations between the first panel of the folding screen and the first volume of the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published in King Gojong’s reign shows the influence of the former on the latter.

목차

Ⅰ. 서론
Ⅱ. 제작 경위
Ⅲ. 제작시기와 병풍의 원 구성
Ⅳ. 현전 병풍 각 첩의 내용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명희(Myeng hee Son). (2014).《태상향의도병太常享儀圖屛》 연구. 고궁문화, (7), 60-146

MLA

손명희(Myeng hee Son). "《태상향의도병太常享儀圖屛》 연구." 고궁문화, .7(2014): 60-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