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성행궁華城行宮의 현판懸板과 시액詩額

이용수 580

영문명
Signboards and Poetry Plaques of Hwaseong Haenggung Palace - Focusing on the Collection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김선희(Kim Seon hee)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7호, 32~57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판은 각 건물 고유의 기능과 특성을 표현하는 함축적 내용을 좋은 글씨로 써내어 건물 내외에 걸었던 서예작품이다. 수원의 화성행궁은 조선시대 최대 규모의 지방 궁궐로 건설되었고 행궁의 주요건물에는 정조 어필과 당대 명필들의 글씨로 현판과 시액들이 걸려있었다. 행궁이 건립된 1789년부터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준비하던 1795년까지 행궁의 현판들과 시액이 행궁 각 건물에 걸렸다. 그리고 1910년대까지 큰 변화 없이 각 건물에 걸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08년 화령전의 정조 어진이 덕수궁으로 이관되면서 행궁의 현판과 시액들도 중앙으로 이전되었다가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행궁 관련 소장 현판은 6점의 현판과 5점의 시액이다. 행궁의 정당인 봉수당에는 건축 시기에 차이를 두고 정조 어필의 ‘장남헌’과 ‘화성행궁’ 현판, 정조대 최고의 명필인 조윤형 글씨의 ‘봉수당’ 현판이 차례대로 걸려 졌다. 더불어 화성에서 어머니의 회갑을 치르는 기쁨을 표현한 ‘자궁행화성행궁진찬일악장’ 시액과 1870년 3월 원행에서 정조가 지은 현판의 어제시에 화답하는 대신들의 시를 모아놓은 ‘화성행궁 경차정묘판상운’시액도 봉수당 실내에 함께 걸려 있었을 것이다. 봉수당과 지붕을 잇대어 지어진 장락당에는 어필 편액과 함께 혜경궁 홍씨의 장수를 축원하는 마음을 담은 ‘화성진찬일구점시여연제신’ 시액이 함께 걸렸을 것이다. 또한 조윤형의 글씨로 쓰여진 ‘낙남헌’ 편액은 어머니 회갑연을 기념하는 양로연에 참가했던 노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표현한 ‘어제낙남헌양로연’ 시액과 함께 장식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득중정에는 어필 현판이, 노래당에도 정조가 지은 ‘노래당구점’ 시액이 걸려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화성행궁에는 몇몇의 복원된 현판만 걸려 있을 뿐 시액은 전혀 걸려있지 않다. 특히 현재 행궁의 정당인 봉수당에는 ‘봉수당’ 현판만 걸려있고, ‘장남헌’ 현판은 유여택, ‘화성행궁’ 현판은 신풍루 정면 오른쪽 바닥에 놓여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행궁의 현판은 물론 시액들도 함께 제자리를 찾아 올바로 복원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 signboard (hyeonpan) is a fine work of calligraphy hung on the interior or exterior of a building that connotatively expresses the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at particular building. Hwaseong Haenggung Palace (華城行宮) in Suwon was the largest provincial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major buildings of the palace were hung both sign boards and poetry plaques (siaek) featuring the handwriting of King Jeongjo and the most noted calligraphers of the time. From 1789, when construction of the palace was completed, to 1795, when the 60th birthday Lady Hong (mother of King Jeongjo) was celebrated, sign boards and poetry plaques were hung on the various buildings of the palace. It appears that they remained in place without major changes until the 19010s. But when the portrait of King Jeongjo in Hwaryeongjeon (華寧殿) was moved to Deoksugung Palace in 1908, the sign boards and poetry plaques were also moved to the capital. Some are now preserv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Palace Museum’s collection includes six sign boards and five poetry plaques related to Hwaseong Haenggung. In Bongsudang (奉壽堂), the main hall of the palace, different sign boards were hung one by one at different times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including those reading “Jangnamheon” and “Hwaseong Haenggung” written by King Jeongjo, and another reading “Bongsudang” written by Jo Yun-hyeong, who was the greatest calligrapher in Jeongjo era. Also hung inside Bongsudang were two poetry plaques: one titled “Jagunghaeng hwaseong haenggung jinchanil akjang” (慈宮幸華城行宮進饌日樂章) written by Jeongjo, which extols the joys of celebrating the 60th birthday of his mother in Hwaseong; and the other reads “Hwaseong haenggung gyeongcha jeongmyo pansangun” (華城行宮敬次正廟板上韻), which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ministers in reply to the poem on the sign board written by King Jeongjo when he made his royal procession to Hwaseong Haenggung in March 1870. In Jangnakdang, which was built with its roof connecting to that of Bongsudang, the poetry plaque entitled “Hwaseong jinchanil gujeom siyeoyeon jeshin” (華城進饌日口占示與宴諸臣), which contains a prayer for the longevity of Lady Hong, would have been hung along with a sign board written by King Jeonggo. The sign board “Nangnamheon” featuring the handwriting of Jo Yunhyeong would have been hung with the poetry plaque entitled “Nangnamheon yangnoyeon” (洛南 軒行養老宴), which vividly describes the people present at a banquet held for the elderly in honor of the birthday of the king’s mother. A sign board written by King Jeongjo must have been hung in Deukjungjeong (得中亭), and a poetry plaque entitled “Noraedang gujeom” (老來堂口占), also written by Jeongjo, must have been hung in Noraedang (老來堂). At present, however, only a few restored sign boards hang in Hwaseong Haenggung and no poetry plaques at all. Particularly, of the sign boards for the main hall of the palace, only the sign board of “Bongsudang” remains hanging in the palace; the sign board for Jangnamheon is in Yuyeotaek (維與宅), and that reading Hwaseong Haenggung is lying on the ground on the right front of Sinpungnu (新豊樓).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effort to restore the sign boards and poetry plaques of Hwaseong Haenggung.

목차

Ⅰ. 머리말
Ⅱ. 행궁 건물과 현판
Ⅲ. 현존 현판과 시액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Kim Seon hee). (2014).화성행궁華城行宮의 현판懸板과 시액詩額. 고궁문화, (7), 32-57

MLA

김선희(Kim Seon hee). "화성행궁華城行宮의 현판懸板과 시액詩額." 고궁문화, .7(2014): 3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