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갑옷과 말갑옷의 종류와 양식적 특징

이용수 1215

영문명
Types and Stylistic Features of Goguryeo Armor and Horse Armor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박선희(Park Sunhe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7號, 139~18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비교연구를 통해 고구려 갑옷과 말갑옷의 고유양식과 생산기법의 특징에 대해 밝히고 이로부터 고구려시기 요서지역 고분들의 국적을 재해석하였다. 고구려 갑옷은 갑편양식과 연결기법 및 갑옷양식 등에서 중국이나 북방지역의 영향과는 무관하게 고조선 갑옷 생산기술을 계승하여 독자적으로 발전시켜 나갔으며 이웃나라에 영향을 주었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들과 이후 청동기시대 고조선유적에서는 장방형의 뼈갑편이 줄곧 출토되어져 한민족이 오랫동안 뼈갑옷을 생산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중국의 경우는 뼈로 만든 갑옷을 생산했다는 문헌기록은 물론 유물도 출토된 바가 없다. 장방형 갑편 양식은 고조선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여겨진다. 중국의 갑편은 고조선의 영향을 받아 춘추전국시대부터 장방형의 모습을 보인다. 중국은 춘추시대에 철갑을 생산하지 못했다. 중국에서 철갑의 출현은 전국 말기에 와서 둥글린 장방형의 철갑편을 그대로 이어서 만든 투구가 발굴되었을 뿐이다. 진제국시대의 갑옷은 대부분 가죽으로 만들어 졌는데 그것도 앞가슴과 등 부분 및 어깨만을 방형 또는 장방형 가죽편을 평면적으로 연결하여 덮는 양식이었다. 중국은 철갑이 서한시대에 비로소 보급되기 시작한다. 武帝 이전까지 군대는 보병이 위주가 되며 철갑도 크게 보급되지 못했다. 무제시대에 이르러 흉노와의 전쟁으로 개갑 무장한 기병의 수가 크게 증가하며 갑편 양식도 대형 철찰갑에서 비교적 세밀한 양식의 어린갑으로 발전한다. 여전히 가죽갑옷은 철갑옷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이 시기는 고조선이 붕괴되어가는 시기로서 이 같은 무제 때의 군대장비의 변화는 고조선 붕괴 요인의 한부분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는 고조선의 갑옷생산기술을 이어 보다 발달된 철갑옷을 활발히 생산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고구려 갑옷의 특징과 같은 시기 중국 및 북방지역의 갑옷과 비교해보면 그 수준에서 큰 차이를 가진다. 중국은 삼국양진시대 군대에서 일률적으로 같은 모습의 筩袖鎧를 입었고, 남북조시대에 오면 기병이 군대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裲襠鎧가 생산되었다. 이 같은 중국의 용수개와 양당개에서 보이는 양식의 특징을 지닌 갑옷을 착용한 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와 실제 출토유물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고구려는 군대의 구성과 역할에 따라 매우 다양한 갑옷을 입었기 때문에 찰갑편의 형태와 크기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갑옷의 양식 또한 마찬가지이다. 고구려와 신라 및 가야지역에서 출토된 철투구들은 그 구성 찰갑의 양식이 대부분 장방형이고 연결부분을 청동장식 단추로 하여 장식효과도 함께 하고 있다. 이 같은 청동장식단추의 장식은 중국이나 북방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고조선 청동투구만이 갖는 특징으로 고구려로 이어진 것이다. 고구려 갑옷과 말갑옷의 고유양식 등을 통해 분석된 여러 내용들로부터 조양지역의 서기 3세기부터 서기 4세기 중엽 이전까지 조성된 무덤들의 국적을 재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이 시기에 만들어진 조양지역 여러 무덤들의 국적은 북방민족이 아닌 고구려임을 재해석했다. 이 무덤의 주인들은 고구려 동천왕시기 부터 고국원왕이 재위 12년에 환도산성으로 도읍을 옮길 때까지 지금의 조양지역을 중심한 평양성에 살았던 고구려 왕족들이었다. 이 조양지역의 여러 무덤들에서 출토된 복식유물들은 갑옷은 물론 금제관식과 금동 마구제품 등을 비롯하여 중국이나 북방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고구려 왕족만의 고유양식과 특징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tyle of Goguryeo armor and the production technique, we could see that Goguryeo had unique characteristic and tradition distinct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It is because Goguryeo had an outstanding production technique compared to China or northern area, which was obtained by succeeding to Gojoseon that produced armors prior to China. In particular, the rectangular style of the iron sheet shown in Goguryeo armor and horse armor is exactly the same with that of Gojoseon, which was produced from the early stage until the collapse of Gojoseon. Despite the influence of China or northern area, the armor of Goguryeo succeeded to Gojoseon and was developed independently. Since the iron sheets of China were originated from Gojoseon, it had a feature of rectangular style of Gojoseo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ancient China. Later when it comes to Seohan period, the same iron sheet becomes comparatively smaller rectangular or oval shape, due to the influence of Gojoseon that produced it earlier than China. China couldn’t produce iron armor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emergence of iron armor can only be assumed by the excavation of the helmet which was merely a connection of rounded rectangular iron sheets in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armor of Qin Dynasty was entirely made of leather that only covered the chest, back and the shoulder. In China, the iron armor comes into wide use for the time in Seohan period. Before Wu-ti, the early stage of Seohan, the military was mostly composed of the infantry units and the armor was not distributed very well. However, under Wu-ti Dynasty, the number of the cavalry wearing the armor in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war against the Huns and the former large iron sheet evolves into a relatively sophisticated, fish scale-shaped style. Still, the leather armor was more widely used than the ironclad armor. This period was when Gojoseon was gradually collapsing and the change in military equipment of Wu-ti Dynasty is considered one of the factors of Gojoseon’s fall. Goguryeo kept Gojoseon’s iron armor production technique and actively produced more advanced ironclad armors. During the Three Kingdoms Yangjin period, as the cavalry became more important in military, all Chinese soldiers wore the same Yongsoo-gae and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Yangdang-gae was produced. The characteristics of Yongsoo-gae or Yangdang-gae style cannot be found in the ancient tomb mural nor in the excavated relics of Goguryeo.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armor that appear on the Goguryeo ancient tomb mural and the armor of China and the northern area of the same period, there is a huge gap in their level. Since Goguryeo had various armors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sitions,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iron sheets were also diverse, as well as the style of the armor. Furthermore, in case of the Goguryeo horse armor, the time of its production was at least 2 centuries in advance of China and other northern area, enabling the assumption that their horse armor would have been influenced by Goguryeo. The iron helmets excavated from Shilla and Gaya territory of about fifth century AD are all rectangular shaped and the bronze buttons are ornamenting the joints of iron sheets. These bronze ornamental buttons are the characteristic of Gojoseon bronze helmets that does not exist in China or northern area. In addition, most of the helmets made up of long, rectangular iron sheets have rounded top. Japanese scholars see this round top part as a northern element and call them Mongolian helmet, thinking that Goguryeo was influenced by Mongolia. However, in case of northern area, they did not use helmets with the round top nor one that is connected by long rectangular iron sheets. This perspective is due to the prejudice of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who believe that the armors an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고구려 갑옷의 종류와 양식적 특징
Ⅲ. 고구려 말갑옷과 말투구의 고유양식
Ⅳ. 고구려 갑옷양식에서 찾아지는 평양성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희(Park Sunhee). (2017).고구려 갑옷과 말갑옷의 종류와 양식적 특징. 백산학보, (107), 139-184

MLA

박선희(Park Sunhee). "고구려 갑옷과 말갑옷의 종류와 양식적 특징." 백산학보, .107(2017): 139-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