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 魏晋南北朝時代 莊嚴具를 통해 본 5~6世紀代 有刺利器의 性格 再檢討

이용수 275

영문명
Re-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ol-tops with Barbs in the 5th to 6th Centuries through Reliquaries in the Age of the Camp Nambukjjo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조원창(Cho Weoncha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7號, 251~2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자이기는 3세기 후반부터 6세기대에 이르기까지 신라 및 가야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다. 목곽묘를 비롯한 적석목곽묘, 석곽묘, 석실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묘제에서 수습된 바 있다. 이는 신부와 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부의 경우 나무를 끼울 수 있도록 아래 부분이 동그랗게 말려있다. 유자이기는 그 동안 많은 선학들에 의해 의기로 설명되어 왔다. 그런데 문제는 왕 및 왕릉급, 혹은 상위계층에 해당되는 일부 고분에서 이러한 유물이 전혀 출토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만약, 이것이 의기나 하나의 상징물이었다면 동 시기, 같은 묘역의 고분에서 함께 출토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에는 다양한 행차용 장엄구가 등장하였다. 예컨대 고분벽화 및 석굴사원의 행렬도를 보면 노형을 비롯한 월형, 선형, 도형 및 월, 창, 산개 등의 장엄구가 몇 개씩 표현되어 있다. 이것들은 주인공의 기호에 따라 행차 시마다 선택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장엄구는 백제 한성기 및 일본 고분시대의 무덤 외부에서도 일부나마 출토된 바 있다. 5~6세기에 해당되는 신라 및 가야의 유자이기도 출토 사례로 보아 그 성격은 행차용 장엄구로 추정된다. 이는 위에서 제시된 여러 형태의 장엄구 뿐만 아니라 판상철기나 궐수형 철모(혹은 철겸) 등과도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유물의 출토상황으로 보아 목재로 된 행차용 장엄구는 무덤 주변에 장식하고, 유자이기와 같은 철제품은 무덤 내부에 부장하였음을 추정케 한다.

영문 초록

Pol-tops with barbs are being excavated from the tumuli of the Shilla and Gaya dynasties in the late 3rd to 6th Century. They have been found from various types of tombs including wood coffin tombs, tombs with coffin mounted by stone, stone-lined tombs, and the stone chamber tombs. They consist of a body part called shinbu and the grip-thrusting part called gongbu whose bottom portion was curled to have a wooden stick mounted. Many scholars have explained pol-tops with barbs as ceremonial implements, but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se artifacts have never been found at some tombs for Kings, royal families, and high-ranked groups.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they should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areas adjacent to the tombs built in similar times if they had been ceremonial and symbolic implements. A variety of reliquaries for ceremonial travels appear in the age of the camp nambukjjo. For instance, oars, moon, fan, peach, ax, spear, and parasol-shaped reliquaries were displayed in mural paintings and the paint of stone-cave temples demonstrating King’s march founded. The reliquaries were selectively chosen for each march depending on personal preference of a main character. Additionally, they had been excavated from the exterior of tombs in both Hanseong period of Bakje and the age of ancient burial mounds of Japan. Based on the cases of excavation, I infer that pol-tops with barbs of Shilla and Gaya in the 5th to 6th century were used as ceremonial reliquaries. It is my judgement that they were used together with steel pieces and helmets, as well as various types of reliquaries. Judging from the excavation status of artifacts, I infer that ceremonial reliquaries of wood were decorated around tombs, and steel products like pol-tops with barbs were buried within them.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5~6세기 고분 출토 유자이기의 현황
Ⅲ.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의 행차용 장엄구
Ⅳ. 유자이기의 성격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Cho Weonchang). (2017).中國 魏晋南北朝時代 莊嚴具를 통해 본 5~6世紀代 有刺利器의 性格 再檢討. 백산학보, (107), 251-280

MLA

조원창(Cho Weonchang). "中國 魏晋南北朝時代 莊嚴具를 통해 본 5~6世紀代 有刺利器의 性格 再檢討." 백산학보, .107(2017): 251-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