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정과 광기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Lyrical and the Madness : A Close Re-reading of Aleksandr Blok’s the Rose and the Cros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최진석(Choi Jin Seok)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4호, 79~10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dedicated to the re-reading of Aleksandr Blok’s last drama, the Rose and the Cross from the culturo-poetical point of view. As we know, Blok is one of the most famous poets in the Symbolism of the Russian literary history. Along with the other symbolists as Vjacheslav Ivanov, Andrej Belyj, Blok also chased for the ultimate redemption from the misery and ugly world where the ordinary life goes on, because the essence of truth could not be represented with this kind of lowly life. The mytho-poetical literary projects of the second symbolistic generation was made up from the belief in “Prekrasnaja dama” who would relieve the poor intelligentija like them. As time passes, this ideal was gradually run out, Blok and the others did not believe in the Goddess of redemption, or the power of the Symbol in literary Idea. But Blok tried to find some kind of the other breakthrough as a literary way. The drama as genre was his assertive choice for this aim. The Rose and the Cross (1912) was his last drama work, in which the dramaturge experiment his concept as the Lyrical against the Madness (Stikhija) for enduring the mastering of the Fate. We will inquire into this problematic through the “downward-synthesis.” That’s why we have to investigate Blok’s literary way in this moment.
목차
Ⅰ. 러시아 상징주의의 변전: 시에서 드라마로
Ⅱ. 「장미와 십자가」에 나타난 서정과 광기의 운명
Ⅲ. 결어: 하강적 종합, 또는 광기를 끌어안는 서정의 운명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Концепт как творческий акт и ключ к познанию русской народной личности
- Литературная сказка Л. Петрушевской
-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 문학 수용양상 연구
- «Лира Новалиса» Вяч. Иванова
- 안나 아흐마토바의 서사적 욕망
- Три века алтайской столицы
- К истори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А.А. Измайлова и В.Я. Брюсова (По материалам переписки 1909–1917 гг.)
- 고대러시아어 대명사 축소형의 범주적 지위에 대하여
- 서정과 광기
- К вопросу о структуре семантического поля ИНТЕРНЕТ
- 학문의 소통과 통섭을 위한 성서적인 모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