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알로이스 리글의 ‘장식론’ 고찰

이용수 518

영문명
Study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Crafts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한혜경(Han Hye Kyeong)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12,13호(합본호), 263~2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비엔나학파의 중심인물인 오스트리아의 미술사학자 알로이스 리글(Alois Riegl, 1858~1905)의 장식론을 고찰한 이 논문은 장식(Ornament)의 미적가치를 재고함에 목적을 둔다. 19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미술공예운동의 확산으로 장식에 관한 수많은 논의들이 제기된 가운데, 리글의 장식론은 ‘장식’을 고급미술과 동등한 반열에 올리기 위한 근거마련의 시도로 주목된다. 리글의 장식연구는 ‘양식론’ 구축을 위한 방법이자 토대로, 19세기 유럽지성사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개개의 작품에 대한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관찰을 통해 예술현상과 그 배후의 본질을 추구한다. 『양식의 문제 Stilfragen』(1893)과 『후기로마공예 Spätrömische Kunstindustrie』(1901)는 이와 같은 태도가 결집된 그의 대표저작이다. 기능, 목적, 재료로 장식의 발생을 설명한 젬퍼와 젬퍼리안의 기계론적 유물론에 대항해, 리글은 예술형성에 있어서의 인간의 창조적 자율성에 정당한 가치를 부여했다. 경험적인 방식으로 구축한 그의 미술사는 ‘양식비교’와 ‘형식분석’을 통해 예술작품과 그 배후의 ‘예술의욕(Kunstwollen)’, 즉 인간의 선천적인 내적·정신적 측면의 형식충동을 입증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장식이론을 통해 싹튼 ‘예술의욕’ 개념은 초기에는 심리학적 색채를 띄었지만, 후기에 와서는 비모방적인 재현으로서의 장식, 구조적 상징으로서의 장식의 발생과 발전을 관장하는 목적론적 개념으로 정착하게 된다. 결국, 예술의욕은 예술발전의 원리들을 관장하는 지배원리이자 예술에 내재하는 실질적인 힘, 다시 말해 내적 필연성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heory of Ornaments of Alois Riegl(1858~1905), who was an Austrian art historian and leading figure of Vienna School. Its goal is to discover and to analyze the aesthetic value of ornament. In 19th century, lots of discussion on ornaments wer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liferation of the Art&Crafts Movement which was oriented in Britain, Riegl’s theory of Ornaments was an attempt to raise ‘Ornament’ to the equal level of Major Art. Riegl’s study on Ornament, shaped with 19th century’s intellectual atmosphere, was a ground as well as a method to establish the theory of style. It seeks the intrinsic background and any artistic phenomenon of each work of art through corroborative and empirical observation. The two representative works of his study, Stilfragen(1893) and Spätrömische Kunstindustrie(1901) give us a clear view on his theory and study. In two works, He endowed due value on the creative freedom against the G. Semper and Semperian’s artistic materialism which explained the origin of ornaments with its purpose, function and material. His history of art, which was constructed through reductive and empirical methods to secure objectivity, was the work of proving the artistic volition(kunstwollen) behind a work of art with formanalysis as its method. He regard the artistic volition as the formal impulse in the aspect of human nature and mentality. At the early stage, this concept of ‘artistic volition’ was apt to be a part of psychology, but later it took root as a theological concept which took charge of origin and development of ornaments as a non-mimetic represenrtation and structual symbolism. this concent. As a result, this theological concept was accepted as a dominating principle in the development of arts and practical power existingin arts, that is inner necess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 장식연구의 의미
Ⅱ. 리글의 장식론
Ⅲ. 예술의욕의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혜경(Han Hye Kyeong). (2014).알로이스 리글의 ‘장식론’ 고찰. 문화예술콘텐츠, (12,13), 263-285

MLA

한혜경(Han Hye Kyeong). "알로이스 리글의 ‘장식론’ 고찰." 문화예술콘텐츠, .12,13(2014): 263-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