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세기 嶺南學派의 『中庸』分節說 考察

이용수 120

영문명
A Study on the Bunjeol Theori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by the Yeongnam School in the 19th Century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崔錫起(Choi Seok ki)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6輯, 161~19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세기 嶺南學派에서 다양한 『中庸』分節說이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그 展開樣相을 살핀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학자들은 程子의 3分說, 『중용장구』 장하주의 4大支說, 「讀中庸法」의 6大節說 등을 통해 『중용』의 구조를 다양하게 분석하였는데, 18세기 후반 이후 영남학파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설이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분절설의 전개양상을 가)19세기 전반까지 종래의 설에 기초하여 시도한 다양한 분절설, 나)4대지와 6대절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구조를 파악한 설, 다)3분설과 4대지와 6대절을 통합해 구조를 파악한 설, 라)1설에 기초하여 독자적으로 논리구조를 파악한 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가)의 경우, 興海에 살던 鄭炅은 3가지 설을 모두 수용하여 최초로 통합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安東에 살던 裵相說은 張顯光의 설을 수용하여 5대절설을 주장하였으며, 醴泉에 살던 朴箕寧은 3분설에 기초하여 5대절로 세분하는 설을 주장하였고, 大邱에 살던 崔象龍은 원형을 중심으로 사방에 4大支를 배열하는 중용도를 작성하였으며, 杞溪에 살던 李晦慶은 4대지와 6대절을 통합한 중용도를 작성하였다. 나)의 경우, 4대지와 6대절을 통합해 유기적으로 해석한 인물은 星州에 살던 李震相이다. 그는 4대지설과 6대절설을 비판하면서 4대지와 6대절을 人身에 비유하여 命脈과 血脈을 강조하며 統攝과 運用의 妙合을 추구하였다. 이진상의 四支六節統合說이 제기되자, 그의 문하에서는 이 문제를 더 깊이 탐구하여 許愈와 郭鍾錫은 보다 진전된 설을 제기하였다. 다)의 경우, 鄭炅이 3가지 설을 모두 통합하려고 시도한 뒤, 19세기 후반 진주에 살던 姜永墀가 또 이러한 설을 개진하여 3가지 설을 통합하려 하였다. 이런 시도는 곽종석의 문인 金榥에게서 다시 나타나는데, 그는 4대지와 6대절을 통합하는 설에 3분설까지 포함하여 한 장의 중용도를 그렸다. 라)의 경우, 정자의 3분설에 기초한 분절설은 醴泉에 살던 朴箕寧에게서 처음 시도되었는데, 그는 3단락 안에 중간을 다시 5대절설로 나누는 설을 폈다. 그 뒤 固城에 살던 鄭灝鎔은 3분설을 바탕으로 전체를 3단락으로 나누었다. 한편 安東에 살던 金秉宗은 3분설에 기초한 구조분석을 하였는데, 朴箕寧의 설과 유사하다. 장하주의 4대지설에 기초한 설은 崔象龍의 설과 함께 奉化에 살던 金載璐의 설이 제기되었는데, 김재로는 4대지설에 기초하여 원형으로만 된 중용도를 그렸다. 이 시기 「독중용법」의 6대절설에 기초한 6대절설도 등장하는데, 진주권에 살던 姜柄周의 중용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이후 『중용』분절설이 영남학파에게서 이처럼 다양하게 나타난 것은 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영남학파 학자들이 기호학파의 설에 이론적으로 대응하려는 차원에서 탐구한 결과이며, 도가 무너지는 시대를 산 학자들의 위기의식의 소산이라 하겠다. 이처럼 다양한 분절설은, 『중용』해석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여 해석의 지평을 넓혔으며, 종래의 설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시각을 극복하게 하였으며, 다양한 구조분석을 통해 요지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게 하였으며, 형이상학적 담론으로 흐르는 『중용』해석을 텍스트로 분석으로 시선을 옮기게 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various Bunjeol theori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by the Yeongnam School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ir development pattern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Joseon, the scholars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in various ways with the 3 Bunseol of Jeong Ja, 4 Daejiseol of Jang Ha-ju in his Jungyongjanggu, and 6 Daejeolseol in Dokjungyongbeop. The Yeongnam School proposed an unprecedented number of various theories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differentiating itself from other regional schools. The present study divided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ose Bunjeol theories into four groups: the first one included diverse Bunjeol theories that made an attempt based on the old theories until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second one included the theories that figured out the structure of the Book by combining the 4 Daejiseol and 6 Daejeolseol organically; the third one included the ones that examined its structure by integrating 3 Bunseol, 4 Daejiseol and 6 Daejeolseol together; and the final one included the ones that looked into its structure independently based on a view. As for the first group, Jeong Gyeong in Heunghae made the first attempt at integrated analysis by accepting all of three theories. Bae Sang-yeol in Andong argued for 5 Daejeolseol by accepting the theory of Jang Hyeon-gwang. Park Gi-nyeong in Yecheon insisted on a theory of segmentation into 5 Daejeol based on the 3 Bunseol. Choi Sang-ryong in Daegu drew a map of the Mean to place 4 Daeji in four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a circle. Lee Hoi-gyeong in Gigye made a map of the Mean by combining 4 Daeji and 6 Daejeol. As for the second group, it was Lee Jin-sang in Seongju that combined 4 Daejiseol and 6 Daejeolseol and interpreted them organically. Criticizing both 4 Daejiseol and 6 Daejeolseol, he compared them to the human body, put an emphasis on life and blood vessels, and sought after the subtle combination of consilience and management. After he proposed an integration theory of Saji and Yukjeol, his pupils delved further into the issue. Of them, Heo Yu and Gwak Jong-seok proposed more advanced theories than their master. As for the third group, Kang Yeong-ji, who lived in Jinju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de a statement after Jeong Gyeong attempted to combine all of three theories together in his effort to integrate the three theories. Such an attempt as his was also observed in Kim Hwang, a literary figure under Gwak Jong-seok. Kim drew a map of the Mean, including 3 Bunseol in the integration theory of 4 Daeji and 6 Daejeol. As for the last group, it was Park Gi-nyeong in Yecheon that made the first attempt at the Bunjeol theory based on the 3 Bunseol of Jeong Ja. He developed a theory of dividing the middle in the three paragraphs into 5 Daejeolseol. After him, Jeong Ho-yong in Goseong divided the whole into three paragraphs based on 3 Bunseol. Kim Byeong-jong in Andong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Book based on the 3 Bunseol, proposing a similar theory to that of Park Gi-nyeong. In addition to Choi Sang-ryong, Kim Jae-ro in Bonghwa proposed a theory based on the 4 Daejiseol of Jang Ha-ju. He also made a map of the Mean only in a circle based on the 4 Daejiseol. It was around that time when a 6 Daejeolseol emerged based on the 6 Daejeolseol of Dokjungyongbeop. It can be checked in the map of the Mean drawn by Kang Byeong-ju in the Jinju area. The Yeongnam School proposed an array of Bunjeol theories about The Doctrine of the Mea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is a unique phenomenon of the region that was not found in other regions. The emergence of various theories was the outcome of its regional scholars inquiry in theoretical response to the theories of Giho School and the product of their consciousness of crisis after years of collapsing mor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問題의 所在
Ⅱ. 『中庸』의 分節問題와 朝鮮時代分節說의 槪要
Ⅲ. 19世紀嶺南學派의 『中庸』分節說展開樣相
Ⅳ. 結論 : 그 意味를 겸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錫起(Choi Seok ki). (2017).19세기 嶺南學派의 『中庸』分節說 考察. 동양한문학연구, 46 , 161-197

MLA

崔錫起(Choi Seok ki). "19세기 嶺南學派의 『中庸』分節說 考察." 동양한문학연구, 46.(2017): 161-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