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용수 131

영문명
A Basic study on the paleolithic sites in Unjeong, Paju.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이정철(Jung-chul Lee)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8호, 61~8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기도 파주 운정지구 내의 16개 지점에서는 구석기유적이 집중적으로 발굴조사되었으며, 그 성과는 한강 하류역의 구석기문화를 파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하지만 여러 지점 에서 이루어진 조사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유적 조사 내용 중입지와 유물층, 석기공작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파악한 후 유물층의 구분과 추정 연대의 설정, 석기공작의 특징에 대하여 시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유적은 대부분 사면 및 사면말단부에 위치하며, 일부 유적은 구릉과 구릉 사이의 골짜기 내에 분포하기도 한다. 유적의 층위를 통해 상당수의 유적에서는 사면에서 기원한 퇴적물과 함께 석기가 혼입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는 유적 변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토 유물은 퇴적물의 연대보다 이른 시기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퇴적층의 절대연대를 고려하여 세 매의 유물층으로 구분하고 연대를 추정하 였는데, 하부(제1) 유물층은 기반암 풍화층 상부의 사질각력층 또는 회(청)색 니사질층과 그 하부층으로 MIS 3기 전반부나 그 이전, 중부(제2) 유물층은 사질각력층 상부 및 쐐기구조가 발달한 암갈색 점토층 하부의 사질(점토)층으로 MIS 3기 후반부나 그 이전, 상부(제3) 유물층은 쐐기구조 발달의 암갈색 점토 층과 그 상부로 MIS 3기 후반부 ~ MIS 2기에 해당되는 층으로 판단하였다. 세 매의 유물층별 석기공작의 양상은 석기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몸돌과 격지의 비율은 사면 퇴적의 영향으로 유적 변형이 이루어진 바 일반적인 출토 양상과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다듬은 석기로 볼 때, 시기가 가장 오래된 하부(제1) 유물층에서는 주먹도끼와 찍개·여러면석기 등을 중심으로 하는 대형석기가 집중되는 양상이며, 상부(제3) 유물층으로 갈수록 밀개를 중심으로 하는 소형석기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한편 본 연구는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로써 향후 보다 면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rough an intensive excavation for the paleolithic sites on 16 in Unjeong, Paju City, Gyeonggi Province, some of important data which can give an understandings on paleolithic culture in downstream of Han River area had been obtained. However, it has been hardly performed to integrate the results of survey which has been done in different sites.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 landform, artifacts layer, and lithic industry through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result of each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slope and end of slope, and some sites are located in the valley between the hills and the hills. We found the layers of sites include stone tools and slope sendimentals origined slope. This means sites a transform. According to this, the generation of excavated artifac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an earlier period of the slope sediment, and the layers could be divide by three sets considering the absolute dating of sedimentary layers as follows: The Lower(1st) artifacts layer is the “sandy-sharpstone layer” over the weathered bedrock layer or gray(gray-blue) sandysilt layer and its lower(1st) layer (generated the first half or before of mis 3). The Middle(2nd) artifacts layer is the upper sandy-sharpstone layer and the sandy(clay) layer under a dark brown clay layer with a well grown soil-wedge (generated the second half or before of mis 3). Upper(3rd) artifacts layer is the dark brown clay layer with a well grown soil-wedge and its upper layer(generated in later MIS 3 and MIS 2).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thic industry focusing on stone-tools composi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rate of core and flake due to a transform of artifacts by slope deposition when we compare the general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Lower(1st) artifacts layer which is rather old, heavy duty tools such as hand-axe, chopper and chopping tools, and polyhedral were easily found. In addition, as it is going to the Upper(3rd) artifacts layer, the more increase of light duty tools such as end-scraper was noticeable. This pattern represents a general appearance of the Paleolithic culture in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별 주요 현황
Ⅲ. 입지, 유물층의 구분과 추정연대
Ⅳ. 석기 구성과 주요 석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철(Jung-chul Lee). (2013).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구석기학보, (28), 61-81

MLA

이정철(Jung-chul Lee). "파주 운정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구석기학보, .28(2013): 6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