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888

영문명
Obsidian Research of Paleolithic Age in Korea -Recent Progress and Problems-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장용준(Yong-joon Chang)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8호, 19~6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 흑요석이 출토된 구석기유적은 동관진과 만달리(어해남 1999)를 제외하고 28곳에서 4,877점 정도가 확인되었다. 흑요석은 경기도 북부지역과 강원도지역의 후기구석기유적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우리나라 흑요석제 석기의 개시 시기는 절대연대, 출토문화층 등을 고려할 때 25,000BC 이후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흑요석이 출토된 구석기유적은 모두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한다. 흑요석제 석기군에서는 주로 세석인과 세석핵이 공반되고 있어 세석인기법과 깊은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 다. 또한 흑요석의 확산에는 조합식 석기의 사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흑요석의 이용방식은 다른 석재와 달리 별도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석재사용의 차별화 전략의 결과인지는 확실치 않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 중 흑요석을 단일 석재로 사용한 유적은 발견된 바 없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흑요석 원산지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게 주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흑요석 원산지 분석은 중성자방사화분석과 X선 형광분석을 주로 이용하였다. 현재까지 한반도 내 백두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흑요석 원산지는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원산지가 분석된 흑요석자 료들의 분석결과를 보면 한반도 남부지역에 소규모의 흑요석 원산지가 있을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백두산 흑요석 원산지는 백두산 주변과 두만강 유역, 중국 길림 남부지역, 한반도 동북부지역이 중심 권역으로 생각되며, 여기서 채집된 흑요석이 한반도 동해안루트를 따라 우리나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 되었다. 한반도 내 흑요석 유입은 직접입수형 모델과 간접입수형 모델로 구분해서 이론적이나마 검토해 보았고, 직접채취형, 교환형, 중개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흑요석 연구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흑요석 보유기관은 분석을 위한 샘플시료의 적극적 제공, 한 유적 또는 동일한 문화층의 흑요석에 대해 ‘전수조사’의 실시, 흑요석 연구를 위한 각종 기초 DB의 정리 및 확보, 흑요석 전문가의 양성, 한반도 내 흑요석 원산지의 발견, 흑요 석의 입수방식 연구가 그것이다. 끝으로 환동해안지역에 있는 국가 간의 공동연구도 반드시 필요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analyses show that PNK-1 and PNK-2 of Baedusan obsidian were used for tool making by Paleolithic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Obsidian from Upper Paleolithic sites in Korea were found in 28 sites and Obsidian stone tools reaches about 5,000. About 85% of analyzed obsidian of Paleolithic originated from the Baekdusan volcano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inbuk is the only Paleolithic site in the South Korea known to date which has produced obsidian of Japan source(Koshidake, Hariojima). Baekdusan obsidian source is thought to be Baekdusan area and Duman river region in Korean peninsula. Obsidian in South Korea were deriv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ekdusan Obsidian have spread by the east coast route of Korea. Stone tools made by obsidian have a deep relation with the microlithic technology. Obsidian sites in Korea were used as only raw material like obidian not been found. We need that Obsidian hold agencies(ex, museum, research center) actively provide for the samples for analysis, for anlysis of all Obsidian in the same cultural layer of the sites, DB work about obsidian in Korea, professional training of obsidian, and the discovery of obsidian source.

목차

Ⅰ. 서론
Ⅱ. 흑요석제 석기의 특징과 현황
Ⅲ. 흑요석 원산지 분석의 현황과 과제
Ⅳ. 한반도 내 흑요석 유입과 교환
Ⅴ. 과제와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용준(Yong-joon Chang). (2013).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보, (28), 19-60

MLA

장용준(Yong-joon Chang).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석기학보, .28(2013): 1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