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특징과 의미

이용수 17

영문명
Music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Jitneun-sori code - With focus on ‘Gaegye(開啓)’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차형석(Cha Hyoung Su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2집, 317~3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범패는 일정한 리듬이나 장단이 없기 때문에 선율이 비교적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선행연구에서 선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는 짓는소리 부호는 아직 그 음악적 특징에 대해 실체가 규명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홑소리인 개계(開啓)의 짓는소리 부호에 대한 음악적 특징과 의미를 밝힌 글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고가 개계를 통해 밝혀낸 짓는소리 부호의 가장 큰 음악적 특징은 첫째 ‘반복’이다. 어떤 장르의 음악이든지 반복은 그 음악이 가지고 있는 주제나 특징을 부각시키기도 하고 음악적 통일감을 느끼게 하므로 형식감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짓는소리 부호는 ‘부호’라는 장치를 통해 반복을 유도하고 전체적인 악곡의 통일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변화·축소·확대를 통해 다양하고 복잡한 형식감을 만들어 낸다. 둘째 ‘자출이는 소리’이다. 자출이는 소리는 어떤 음형을 차츰 줄여 들어가면서 좁아드는 소리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짓는소리 부호의 선율에 자출이는 소리가 존재한다. 자출이는 소리는 악구나 악절 속에서 비교적 그 틀을 유지하지만, 악절이 긴 경우 자출이는 소리는 오히려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음악적 구성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대별된다. 2가지 유형의 구분은 기본형 악구인지 아니면 기본형 악구 앞에 선행악구를 첨가하는지에 따라 판별되며 선행악구는 다시 ‘가~다’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별된다. 그러므로 선행악구의 첨가가 많을수록 혹은 선행악구의 선율이 길수록 음악적 구성은 복잡·다양해지며 복합적인 형식을 갖추게 된다. 넷째 개계에서 안채비소리의 성(聲)인 유치성을 수용하여 적용한다. 특히 유치성 선율형 C-c2형인 ‘맺는선율’은 개계의 짓는소리 부호의 선율에 활용되었다. 따라서 홑소리 <원부개계>·<상부개계>·<영산개계>는 안채비소리인 유치성의 선율형 일부를 포함·공유한다. 이와 같은 음악적 특징을 내재하고 있는 짓는소리 부호는 범패승들에게 범패를 습득하거나 기억을 상기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성악은 문학과 긴밀한 연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문학적으로도 깊이 공유되는데, 연구결과에서도 짓는소리 부호가 있는 지점은 구(句)나 절(節) 등에 주로 기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홑소리의 짓는소리 부호는 음악적으로 맺는 기능을 하고, 문학적으로 구두점(句讀點)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역할 면에서 안채비소리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Beompae(Buddhist chant) is tune due to the absence of a particular rhythm or beat. The Jitneunsori code, which was disclosed by preliminary studies to be closely linked to tune, has not have the true aspects of musical characteristics yet to be revealed. This study aims 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Jitneunsori code of Hossori ‘Gaegye’ an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biggest musical features revealed through Gaegye of this article is ‘repetition’. Regardless of genre, the repetition in music is a quintessential element that reveals its theme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a sense of form by ensuring the sense of consistency. Therefore, the Jitneun-sori code not only delivers the consistency of an overall tune while inducing repetition through a device called the ‘code’ but also creates a complex sense of form through variation, reduction and expansion. The second element is the ‘Jachulineun-sori’. The Jachulineun-sori refers to the technique of gradually reducing a certain sound pattern in a way of narrowing it down and exists in the tune of the Jitneunsori code. The Jachulineun-sori maintains its framework within a phrase or a passage relatively well but the Jachulineun-sori in a long passage tends to rather shrink. Third, the musical composition is largely represented by two different types, which ar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basic phrase or the one with a preceding phrase added to the basic phrase, and the preceding phrase is again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Ga through Da’. Therefore, the more preceding phrases there are or the longer the tune is, th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the musical composition becomes with a complex form as well. Fourth, Yuchiseong, the sound feature of Ahnchaebi-sori, should be adopted and applied. In particular, the ‘concluding tune’, the Yuchiseong tune C-c2, has been utilized in the tune of Jitneun-sori code in Gaegye. Therefore, Hossori and include and share a part of Yuchiseong tune, which is classified into the category of Jitneun-sori. Embedded with these musical characteristics, the Jitneun-sori code must have been very useful for Beompae monks to learn about Beompae(Buddhist chant) and to refresh their memories. On top of it, vocal music is closely linked to literature and thus is deeply reflected in literature, and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parts with some Jitneun-sori codes were often recorded in phrases or passages. Therefore, the Jitneun-sori code of Hossori has obtained the same results as those of Ahnchaebi-sori in terms of its role as it turns out to play the role of concluding in music while serving as a punctuation mark in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현행 전승되는 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분석
Ⅲ. 『봉원사요집』에 표기된 부호의 비교·검토
Ⅳ. 개계(開啓)의 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특징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형석(Cha Hyoung Suk). (2015).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특징과 의미. 국악원논문집, 32 , 317-342

MLA

차형석(Cha Hyoung Suk). "짓는소리 부호의 음악적 특징과 의미." 국악원논문집, 32.(2015): 317-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