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東京大 小倉文庫 소장 『韶英集成』의 자료적 가치

이용수 121

영문명
The Value of Soyoungjipseong(韶英集成) in Sochang(小倉) Collection at Tokyo University as a Musical Dat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임재욱(Yim Jae Woo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2집, 271~2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東京大學敎 小倉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금보인 『韶英集成』을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고, 그것의 특징과 가치를 밝히기 위해 집필되었다. 본고에서 밝힌 바, 다른 자료와 구별되는 이 금보의 특징은 1) 가곡 곡조를 제외한 나머지 곡, 예를 들면 <與民樂>·<步虛子>·<靈山會相> 등을 ‘長樂’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 2) <烽火峴>과 <胡笛 八難> 및 <三絃二數大葉>과 같은 특이한 제목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점, 3) 하나의 장구 장단을 중심에 두고 두 개의 조를 좌우에 함께 기보하고 있다는 점, 4) 지금까지 알려진 금보 중에서는 <言落>, <言弄>과 같은 ‘言’자가 포함된 곡조명, <促數大葉>(존 즈난닙), <促短數大葉>과 같이 ‘促’ 자가 들어간 곡조명, 그리고 <栗糖數大葉>을 가장 먼저 수록하고 있다는 점, 5) <騷聳耳>·<栗糖數大葉>·<落水調>·<言落>·<編數大葉>·<弄>·<言弄>으로 이루어지는 가곡 파생곡의 곡조 체계를 가장 먼저 보여주고 있다는 점, 6) 『가곡원류』에 나오는 매화점 장단의 선행 형태를 기보하고 있다는 점, 7) 오늘날 가곡 장구 장단과 유사한 형태의 장단을 기보한 ‘擊節圖’가 있다는 점, 8) 가곡 노랫말과 그 가창 방법을 함께 나타내는 ‘永言擊節圖’를 싣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특이한 점들을 많이 지니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금보의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으나, 그 중에서 특히 이 금보의 매화점 장단은 더욱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장우벽(1735∼1809)이 창안한 것으로 전하고 있는 매화점 장단은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와 그것의 대략적 실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해답을 찾았다고 할 수 있지만 장단의 구체적 형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한 답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는 대개 『가곡원류』의 형태를 원형으로 보아 왔는데, 그것보다 시기적으로 50년 이상이나 이른 시기에 기보된 것이 출현하였으므로 이제는 『소영집성』의 매화점을 보다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다시 말하면 장우벽이 만든 원래 형태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앞으로 이를 통해 매화점 장단의 원형과 실체 및 변천 과정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roduces Soyoungjipseong(韶英集成), a Choseon(朝鮮) score for Geomungo(琴), that has been newly found by the author in a shelf of Sochang(小倉) collection at Tokyo univ. The score is of novel featur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other scores for Geomungo.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Soyoungjipseong(韶英集成) that differentiate it from other scores are as follows. 1) The compiler of Soyoungjipseong classified all the rest musics except that of Gagok(歌曲) in the score, for example Yeominlak(與民樂), Boheoja(步虛子) and Yougsanhoisang(靈山會相) as ‘Long Musics(長樂)’, 2) notated some musics that have peculiar titles not found other scores such as Bongwhahyeon(烽火峴), Hojeok(胡笛) and Samhyeonisakdaeyeop(三絃二數大葉), 3) notated two tones together on both side of Jangu beat, 4) notated Eonlak(言落), Eonlong(言弄), Shoksakdaeyeop(促數大葉), Chokdansakdaeyeop(促短數大葉) and Youldangsakdaeyeop(栗糖數大葉) first of all the scores ever known, 5) firstly showed a system of musics which consists of Soyongi(騷聳耳), Youldangsakdaeyeop(栗糖數大葉), Naksujo(落水調), Eonlak(言落), Pyeonsakdaeyeop(編數大葉), Nong(弄) and Eonlong(言弄) that all are variations of Gagok music, 6) notated a precedent form of Maewhajeom(梅花點) beat contained in Gagokwonryu(歌曲源流), a songbook compiled at 1876 by Bakhyogwan(朴孝寬) and Anminyoung(安玟英), 7) recorded Gyeokjeoldo(擊節圖) which shows a new pattern of Janggu beat for Gagok and of which some parts are similar with today’s Janggu beat, 8) included Youngeongyeokjeoldo(永言擊節圖) newly developed notating form to record Gagok lyrics and indicate various vocal ways as well.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韶英集成』의 기보법과 수록 악곡
Ⅲ. 결론: 『韶英集成』의 음악사적 가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재욱(Yim Jae Wook). (2015).東京大 小倉文庫 소장 『韶英集成』의 자료적 가치. 국악원논문집, 32 , 271-297

MLA

임재욱(Yim Jae Wook). "東京大 小倉文庫 소장 『韶英集成』의 자료적 가치." 국악원논문집, 32.(2015): 271-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