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과 가사를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이용수 147

영문명
A New Vocal Style of the North Korean Nation -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ext in Moranbong and Uri Donghae nun Jokkidohaji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경분(Lee Kyung Bo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2집, 201~2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매체를 통해 북한음악인들의 성악연주를 몇 개만 들어보아도, 북한의 민족성악이 고유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새로 작곡된 노래 뿐 아니라, 민요편곡에도 해당된다. 원래 민요에 단순히 새 가사를 첨가해서 부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북한성악 미학에 맞춰 재창조되므로, 원래 민요와는 다른 노래가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때 선율과 리듬도 부분적으로 달라지고, 음악과 가사의 관계도 달라진다. 북한의 민족성악론의 독특함은 북한자체의 이론만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면이 있다. 북한성악의 중요한 키워드는 ‘민족음악’ 및 ‘주체음악’인데, 이 개념들의 중심에는 음악적인 측면보다 사상적인 측면이 자리잡고 있다. 실제 이 개념들의 음악적 차이를 구체화하려고 하면 그 경계가 불분명하고 애매모호하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이론적 개념에 관한 분석은 많았으나, 실제 음악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에 관한 연구는 보기 힘들다. 이론적 개념의 설득력이 커지려면, 음악적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여기서는 개념적 분석보다 김일성이 “참으로 아름다운 선률을 가진 노래”로서 칭송한 노래 <모란봉>과 <울산타령>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민요의 북한식 재창조에 있어서 음악과 가사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악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여기에 실제 북한연주자들이 연주하는 유투브 영상화면을 참고로 하여 악보로만 파악되지 않는 살아있는 작품해석을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북한민족성악을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연구가 빈약한 현재 상황에서 본 논문은 개작된 가사와 음악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사상적 측면과 음악적 측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이는 민요의 개작을 다루는 기존연구와 구별되는 독특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의 민족성악을 동아시아의 민족음악적 시도 중의 ‘하나’로서 한중일 맥락이라는 큰 테두리에서 다루는 것도 기존 연구에서 보기 힘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two North Korean songs which Kim Ilsung praised as “beautiful melodies”; namely Moranbong and Uri Donhae nun Jokkidohaji. Both originated from Korean folk songs and Shinminyo(popular folksong style) and were adapt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North Korean socialism.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usic relates to the changed song text and how the music and words create new messages: First, the artistic song with political messages Moranbong can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the North Korean ‘Juche music’. Second, the song Uri Donhae nun Jokkidohaji changed only its lyrics and belongs to an average North Korean Shinminyo. The North Korean attempt to create a National vocal style is worthy of attention, since it amounts to an unique style of creativity in the East Asian context.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북한의 고유한 민족성악 스타일
Ⅱ. 민족음악 창출에의 다양한 시도
Ⅲ. 음악과 가사의 관계로 본 북한의 민족성악
Ⅳ. 끝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분(Lee Kyung Boon). (2015).음악과 가사를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국악원논문집, 32 , 201-217

MLA

이경분(Lee Kyung Boon). "음악과 가사를 통해 본 북한의 민족성악." 국악원논문집, 32.(2015): 201-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