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실과 단원별 적합 홀리스틱 학습 지도 유형 및 학습 수준 유형

이용수 9

영문명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per Holistic Learning Guide Types and Learning Level Types according to the Units of Practical Arts Subject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용익(Kim, Yong Ik)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2권 제2호, 57~7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실과 단원별 적합 홀리스틱 학습 지도 유형 및 학습 수준 유형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 방법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실과교육에서 홀리스틱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전적으로 의견을 같이하고 있었으며, 특히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및 ‘우리의 가정생활’ 단원은 홀리스틱 접근이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과 단원별 적합 학습 유형은 예상했던 대로 ‘신체-감각형 학습’이 가장 높게 나타나 실과는 실세계에 대한 구체적 경험을 감각 기관이나 손 조작을 통한 지각으로 개념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대체로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뇌형 학습, 좌뇌형 학습, 정서형 학습 등의 적합성 인식 수준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조합형 학습의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단원별로 적합한 홀리스틱 학습 수준 유형을 조사한 결과, ‘전달’ 또는 ‘상호작용’ 수준이면 충분하며 ‘변용’까지는 불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즉, 지식ㆍ기능ㆍ가치를 일방적으로 전해주거나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를 통하여 문제를 인지적으로 해결하는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고려해볼 때, 추후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에는 여러 학습 지도 유형이 결합된 ‘조합형 학습’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및 협동학습과 같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개인적 및 사회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높은 수준인 ‘변용’ 학습까지 반영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recognition about holistic learning guide types and learning level types according to the practical arts subject s uni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 research.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completely agre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was identified that practical units of arts subject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physical-sensory mode learning than right-mode learning, left-mode learning, affective-mode learning, and combining-mode learning. According to the trainee teachers recognition about learning level types, trainee teachers thought that transmission and transaction would be enough to organize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bject. So, it was proposed that ‘combining-mode learning and transformation learning level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developing next curriculum and textbook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t was suggested that holistic learning guide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practical arts subjec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익(Kim, Yong Ik). (2009).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실과 단원별 적합 홀리스틱 학습 지도 유형 및 학습 수준 유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 (2), 57-73

MLA

김용익(Kim, Yong Ik).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실과 단원별 적합 홀리스틱 학습 지도 유형 및 학습 수준 유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2(2009): 5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