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馬韓·百濟地域 墳丘墓의 出土遺物과 性格

이용수 503

영문명
The Character of Artifacts from Mounded Burial in Mahan and Baekje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성정용(Seong Jeong Y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9輯, 67~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소위 馬韓 계통의성토분구묘에 대해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마한을 논의할 때는 먼저 그 성립 시점은 언제인지, 기원 이전과 이후의 마한이 과연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과 종족적·정치적인 단위를 과연 구분하지 않아도 되는지 등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다. 한편 분구묘를 마한의 묘제라고할 경우 문화적인 측면과 정치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히 서산 부장리와 같이 A.D.5세기 무렵 백제 한성기 지방사회에서도 고총화된 분구묘가 축조되고 있어 분구묘가 마한 또는 마한계 사회의 전유물이라 하기는 어렵다. 분구묘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 중 하나는 中層 유리구슬과 백색 옹을 비롯한 중국 특히 낙랑계 유물의 존재이다. 중부지역 마한분묘에는 유물뿐만 아니라 합장 토광묘를 비롯한 묘제까지 낙랑의 영향이 매우 짙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분구묘 축조집단의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 가운데 하나가 金銅冠帽와 金銅飾履를 비롯한 백제계 金工威勢品들이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유적들이다. 금공품이 출토된 분구묘가운데서 산부장리와 고창봉덕리는 5세기 무렵 한성기에 해당되지만, 영산강유역분구묘들은 대개 웅진기에 해당된다. 영산강유역 특히 나주 지역 일대의 금공품은 그 상징성과 생산 및 제작기반 등을 고려하면 백제에서 분여된 것으로 봄이 역시 타당할 것 같다. 그러므로 비록 토기는 독자적인 영산강유역양식을 갖고 있다 할지라도 이 지역 정치체의 성격이 백제 중앙과 그리 관계없이 독자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 of the mounded burial of so-called Mahan with focus on the excavated artifacts. When discussing Mahan, there are many tasks to be decided beforehand, such as the time for its formation, whether Mahan had really the same nature in Christine and pre-Christine time, and whether it is needless to classify its cultural aspects and ethnic, political unit, etc. However, it s difficult to classify these things exactly, and this study thinks that in case the mounded burial belongs to the burial system of Mahan, there is the need to consider its cultural aspects and political aspects at the same time. I, as regards the origin of mounded burials, am wondering that mounded burials didn t appear in the form of the main entity s location on the ground from the beginning but they appeared in earnest after the latter part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a certain developmental process from pit tombs. Some of the most noteworthy relics excavated from the mounded burial include gilded glass bead, white earthenware, and the existence of China, especially Nakrang-affiliated relics. Not only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central region of Mahan but the burial system including pit tombs with burial of one more death strongly reveal the influence of Nakrang. Meanwhile, some of the things which reflects the nature of mounded burial building group the most clearly are intensively-excavated relics including gilt-bronze official hats, gilt-bronze shoes and metalwork prestige grave articles. Seosan Bujang-ri and Gochang Bongdeok-ri among the mounded burials from which metalwork goods were excavated belong to the Hangseong Period(A.D. fifth century), but the mounded burials at the Yeongsan River basin mostly belong to the Woongjin Period. It might be also desirable to regard the metalwork goods at the Yeongsang River basin, especially at the whole area of Naju as being dispensed from Baekj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might be difficult to regard the nature of political organization of this region as assuming an identity clearly regardless of the central Baekje even if earthenware has its independent Yeongsan River basis styl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분구묘의 개념
Ⅲ. 출토유물과 성격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정용(Seong Jeong Yong). (2016).馬韓·百濟地域 墳丘墓의 出土遺物과 性格. 선사와 고대, 49 , 67-87

MLA

성정용(Seong Jeong Yong). "馬韓·百濟地域 墳丘墓의 出土遺物과 性格." 선사와 고대, 49.(2016): 6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