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강본류 상류의 후기 구석기 편년과 석기공작의 전개

이용수 121

영문명
The Upper Paleolithic Industry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Focused on the Upstream Are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정철(Lee Jung Chul)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9輯, 5~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강본류의 상류지역을 중심으로 발굴조사된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을 대상으로 지형·지질학적 접근과 석기공작의 검토를 통해 그 편년을 설정하고 석기공작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유적의 유물층은 다섯 개의 편년 그룹으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 유물층(MIS 2기 말기)은 미사지구 A구역 1유물층, 두 번째 유물층(MIS 2기 후반기)은 동백리 1유물층과 삼리1유물층, 세번째 유물층(MIS 2기 전반기)은호평동지새울및 지새울 Ⅱ 1유물층, 호평동 2유물층, 삼평동 보뜰 유물층, 삼리 2유물층, 미사지구 A구역 2유물층, 네 번째 유물층(MIS3기 중후반기)은 호평동 지새울 및 지새울 Ⅱ 2유물층, 호평동 1유물층, 남양주 덕소 3지층유물층, 갈담리 537번지 2유물층, 미사지구 A구역 3·4유물층, 미사지구 B구역 유물층, 다섯번째 유물층(MIS 3기 중반기나이전)은 교문동유물층, 동백리3유물층, 삼리3유물층, 청덕동343번지 유물층이 해당된다. 그리고 동백리 2유물층은 세 번째~네 번째 유물층에 포함된다. 석기공작의 전개는 석영·규암계 돌감을 바탕으로 하는 소형석기 제작기술이 전 유물층에 걸쳐지속되었다. 다만늦은시기로갈수록소형화되고기능이 세분화된다. 그리고기타돌감에기반을둔돌날기법과좀돌날기법은일부유물층에서만그양상이나타나는데, 순차적으로 등장하였다. 돌날기법은네 번째와세번째유물층에서확인되며, 좀돌날기법은세 번째유물층에서 등장한 이후 첫 번째 유물층까지 존속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geological chronology of excavated sites in the main stream(upstream area) of the Han River and to identify the aspects of upper paleolithic industry. The layers of artifacts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earliest period (5th group-before middle MIS 3: artifacts layer of Gyomun-dong and Cheongdeok-dong 343, artifacts layer No.3 of Sam-ri and Dongbaekli), 4th group(middle MIS 3~late MIS 3 : artifacts layer No.2 of Hopyeong-dong Jisaeul and Jisaeul , third stratum of Deokso, artifacts layer No.2 of Galdam-ri 537 and Dongbaekli, artifacts layer No.1 of Hopyeong-dong, artifacts layer No.3 and No.4. of Misa district A zone, artifacts layer of Misa district B zone), 3rd group (first half of MIS 2 : artifacts layer No 1. of Hopyeong-dong Jisaeul and Jisaeul , artifacts layer No. 2 of Hopyeong-dong, Dongbaekli, Samri and Misa district A zone, artifacts layer of Sampyeong-dong Botteul), 2nd group(second half of MIS 2 : artifact layer No. 1 of Sam-ri and Dongbaekli), and 1st group(end of MIS 2 : first artifacts layer of Misa district A zone) In stone industry is a stone knapping technology using quartz-quartizite raw materials was seen throughout the period. However, blade technique and micro-blade technique based on other raw materials were partially identified. It can be suggested that blade technique appeared in this area at 3rd~4th group and micro-blade technique emerged after 3th group with the introduction of obsidian. In shaped tools, small stone tools including side scraper, notch, and end-scraper were dominant and they became smaller and their functions came to be differentiated in process of time. In some sites, large stone based tools were still observe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연구 유적의 개관과 검토
Ⅲ. 지형·지질학적 접근
Ⅳ. 석기공작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철(Lee Jung Chul). (2016).한강본류 상류의 후기 구석기 편년과 석기공작의 전개. 선사와 고대, 49 , 5-36

MLA

이정철(Lee Jung Chul). "한강본류 상류의 후기 구석기 편년과 석기공작의 전개." 선사와 고대, 49.(2016): 5-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