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句麗의 東沃沮 정벌과 樂浪郡

이용수 245

영문명
Koguryǒ s Conquest of East Okchŏ and Lelang Commande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종록(Lee Jong Ro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9輯, 37~6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三國志』 등의 사료에 따르면 高句麗가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땅에 위치하여 늘 식량공급 등의 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고구려는 정복전쟁을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고, 1세기경의 동옥저 정벌은 그 전쟁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동옥저 정벌에 있어서 고구려에게 최대의 장애물은 이미 이 지역에 지배권을 확보하고 있었던 樂浪郡 세력이었다. 따라서 大武神王代 고구려는 정복전쟁은 그 목표가 바로 이들 낙랑군 세력이었을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파악하였다. 고구려는 呑列縣을 비롯한 낙랑군의 縣을 공략하여 동옥저지역의 교통로를 확보하였으며, 그 여파는 낙랑군이 하여금 영동 7현을 방기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동옥저에서 군현세력이사라지고 토착 小國들이 서로 相爭하는 기회를 틈타, 고구려는본격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정벌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동옥저에서는 여전히 親漢勢力이자 군의 지배질서를 수용하던 집단이 잔존하고 있었다. 이들은 영동 7현의 방기 이후에도 여전히 樂浪郡의 소속으로써 그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던 집단이던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는 이들 친한 세력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동옥저 정벌을 수행하였으며, 이것이 사료상에서 樂浪國 이라는 나라와의 전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이들은 낙랑군을 대신하여 토착세력들(渠帥)에게 지배자의 입장에서 조세의 貢納을 받으며 경제적 욕구를 충족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Sanguozhi(三國志;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Koguryǒ(高句麗) had constantly suffered economic problems because of its inadequate earth for agriculture. Thus, Koguryǒ used militaristic methods as a solution to their scarcity of provisions, and the invasion into East Okchŏ(東沃沮; Dongokchŏ) was an exemplary case for this mechanism in the first century. The biggest obstacle to Koguryǒ s conquest of East Okchŏ was Chinese Lelang(樂浪) Commandery, which had already secured control over the region using local pro-Chinese groups in East Okchŏ. Consequently, the consistent purpose of King Taemusin(大武神王) s campaigns was to defeat these groups. Koguryǒ attacked Lelang s counties such as Tunlie(呑列縣) to acquire a route to East Okchŏ, and the invasion s aftereffect severed the commandery s direct reign over the region. After Chinese commanderies recession from East Okchŏ, small countries(小國) started quarrels with each other, a situation which allowed Koguryǒ to easily infiltrate into this region. Arguably, the leaders of small countries were the local pro-Chinese groups who kept their identity as a part of Chinese commandery even after the commandery s recession. It was natural that Koguryǒ s aggression targeted at these groups remained in East Okchŏ, since they were potential threats to Koguryǒ s rule over the region. This invasion was described as a war with a kingdom named Lelang(樂浪國; Nangnangguk), supposedly one of the local countries under a pro-Chinese leader. After successfu occupation of East Okchŏ, Koguryǒ adopted a similar method of Chinese commanderies control over the region, as it was the most effect way to satisfy their economic need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樂浪郡의 領東 7縣과 東部都尉
Ⅲ. 高句麗의 東沃沮 方面 進出 過程과 交通路
Ⅳ. 高句麗의 東沃沮 征伐과 支配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록(Lee Jong Rok). (2016).高句麗의 東沃沮 정벌과 樂浪郡. 선사와 고대, 49 , 37-66

MLA

이종록(Lee Jong Rok). "高句麗의 東沃沮 정벌과 樂浪郡." 선사와 고대, 49.(2016): 3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