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조선의 농업학교와 지역사회

이용수 284

영문명
Vocational Secondary Educational Schools of Agriculture and Regional Societies in Colonial Korea : A Focus on the Iri(裡里)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마츠모토 다케노리(Matsumoto, Takenori)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9집, 37~7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22년 전라북도 익산군에 설립된 이리농림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의 설립과정과 지원자, 입학생, 졸업생에 착목하여 이리농립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리농림학교 설립에 대해서는 이리를 중심으로 익산군에 거주하는(혹은 농장을 소유하는) 일본인 대지주뿐 아니라, 도내 평야지대에 거주하는(혹은 농장을 소유하는) 일본인 대지주들이 깊이 관심을 두었다. 그들은 경제력(기부)과 정치력(청원)을 구사하면서 이리에서의 유치를 실현하였다. 설립 후에는 이리농림학교는 조선 전 지역에서 수많은 조선인 지원자를 모았기 때문에 조선인 지원자에게 ‘좁은 문’이었다. 조선인 지원자들은 주로 관공서에 취직하고자 했고, 학업이 우수한 조선인 졸업생의 대부분은 출신 도에 돌아가서 관공서에 취직하였다. 그 ‘실적’이 각각의 출신지에서 조선인 지원자를 다시 이끄는 효과로 기능했다. 그리고 그 ‘실적’은 이리농림학교의 평가를 높였고, 그 결과 이리농림학교는 이리를 알리는 ‘유리한 선전기관’이 되었다.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이고 식민지적인 행정기구와 경제기구의 밑에서는 중등교육기관을 졸업한 조선인의 취업기회는 한정되었다. 그럼에도 행정기관에서 하급행정직이나 기술직으로 취직하는 것을 목표로 많은 조선인 학생이 농업학교에의 진학을 희망하였다. 이러한 식민지 지배 하에서의 차별구조를 기점으로 하여 이리농림학교를 유치한 일본인 대지주들은 이것을 스스로 ‘유리한 선전기관’으로 활용한 것이다. 조선인에 비하여 일본인 입학자는 전북출신의 비율이 높았다. 일본인 졸업생들은 도외의 관공서, 민간기업 혹은 농장 등에 취직하였다. 단, 자택영업자 중에서는 전북 출신자 비율이 높았다. 전북에 거주하는 일본인 농가와 농장 경영자에게는 이리농림학교는 자신의 후계자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Iri(裡里)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as a secondary educational school in 1922 in Iksan(益山) County, North Chŏlla Province,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societies and emphasizing the process of its founding and its applicants, enrollees and graduates. Both Japanese large-scale landlords residing in and/or owing land in Iksan County and Japanese residents in the plain area of North Chŏlla Province other than Iksan County were interested in founding the school. They mobilized their political power through petitions and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donations and eventually achieved the founding of the school. The school collected applicants from all of the provinces of Korea, and many Korean students applied to attend. Only those who had excellent school records could pass the entrance examination. Most of the Korean applicants wanted to be public officials after graduation, and many of the Korean graduates actually became public officials in their hometown province. This achievement enhanced the reputation of the school, and as a result, the school could continuously expect excellent applicants from all over Korea. In this process, the school played a role in promoting the presence of the town of Iri. Korean secondary school graduates faced difficulties in finding jobs due to the discriminatory structure of the job market in colonial Korea. For this reason, many Koreans applied to vocational secondary educational schools, including agricultural (and forestry) schools, aiming to obtain positions as low-ranking public officials. Japanese landlords in Iri made use of this discriminatory structure under the colonial rule to promote the town of Iri. Compared to the Korean enrollees, the ratio of those from North Chŏlla was higher among the Japanese enrollees. Japanese graduates took jobs as public officials and with private companies and farm land management companies located outside North Chŏlla. Only in the case of those who took jobs at home, the ratio of those from North Chŏlla was high.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farmers in North Chŏlla, the school played a role in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to their successo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식민지기 전라북도에서 중등학교
Ⅲ. 이리농림학교의 설립과정
Ⅳ. 이리농림학교와 지역사회
Ⅴ. 맺으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츠모토 다케노리(Matsumoto, Takenori). (2016).식민지 조선의 농업학교와 지역사회. 역사문화연구, 59 , 37-76

MLA

마츠모토 다케노리(Matsumoto, Takenori). "식민지 조선의 농업학교와 지역사회." 역사문화연구, 59.(2016): 37-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