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무속신앙의 개념과 무격의 역할

이용수 1022

영문명
The Concept of Shamanism and the Role of Shama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갑동(Kim Gap do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9집, 3~3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각종 신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天神, 山神은 물론이고 地神, 龍神, 祖上神, 城隍神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 신들은 일반 사람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존재였다. 따라서 이들 신은 특별한 존재를 매개로 하여 인간과 접촉하였다. 이들이 바로 샤먼(Shaman) 즉 巫覡이었다. 초기에 이들은 司祭로서의 역할과 정치적 지배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지만 점차 제사가 정치와 분리되면서 고유한 영역의 직업인이 되었다. 그들은 무격이 되는 과정에서 겪는 병적 상태를 극복한 정신적인 인간 또는 종교전문가였다. 그들은 또한 보통 엑스타시(Ecstasy)의 기술자였다. 엑스타시를 통해 신과 인간을 융합시키는 기술을 습득하였다. 그것은 보통 歌舞의 형태로 나타났다. 한국 고대에 있어 축제나 제례를 행할 때 종종 飮酒歌舞를 동반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이러한 엑스타시를 통해 神靈과 교감하면서 국가나 인간의 吉凶禍福을 점치고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것이 바로 무격 신앙이었다. 한편 무격들의 역할과 기능은 다양하였다. 우선 산신사나 성황사 등과 같은 神祠를 관리하고 제사를 주관하였다. 이는 신령과 인간과의 매개 역할을 했던 그들이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기도 하였다. 신사에 오는 사람들을 위해 복을 빌어주고 정기적이거나 비정기적인 제사가 있을 때 이를 주관하였다. 비가 오지 않고 가뭄이 계속될 때는 이들을 모아 비를 빌기도 하였다. 祈雨 행사를 주관하였던 것이다. 무격들을 통해 천신을 감동시키거나 간절히 빌어 비가 내리기를 바랬던 것이다. 또 그들을 이용하여 앞날을 예견하고 개인이나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 그러나 때로는 상대방을 저주하고 무고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정쟁에 이용되기도 했던 것이다. 이는 특히 원 간섭기에 심하였다. 왕비들끼리의 질투나 권력가들끼리의 정쟁에 이들이 개입되었다. 병을 치료하는데 이들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인 의료 행위라기 보다 심리적인 안정과 치료에 기대는 것에 불과하였다. 또 이들은 엑스타시를 위해 가무와 소리를 기본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왕실이나 귀족을 위하여 가무나 음악을 하고 오락 행사에 동원되기도 했다. 이러한 무격들의 역할과 기능은 그들이 신령과 통하여 무한한 기능을 갖고 있다고 믿는 사상에 근거한 것이었다. 이러한 무속 신앙의 의미와 무격들의 역할은 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는 인간이 아직도 해결할 수 없는 것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문 초록

The sky which covers the earth like a veil, is infinite, immovable and awe-inspiring. In a time long ago, it was considered much more. It was a sensation, and by its very essence it emanated power. So from this overwhelming sensation of sky, the ancients made the heavenly value their model of order and the highest deity. Cheonsin (天神) , the “God of Heaven , is believed to have descended from the high mountain and became the Sansin (山神), the God of the Mountains”. In connection with farming Jisin (地神), the “God of Earth”, Yongsin (龍神), the “God of Sea” and others were created. In order to worship dead ancestors the faith in Josangsin (祖上神), the “Ancestor Spirit God” had begun. The “mu” (巫覡) are not self-ordained priests, but they come as media, intermediaries between the highest forms of being and humans. At the beginning mu as priests(司祭) were also acting as a political rulers, however gradually the veneration for the ancestral rites and politics were separated and indigenous domain of professionals started to form. To became a new shaman-priest a person must have go (should have gone) through a process called Sinbyeong (神病), “self-loss” (shamanistic illness), which is the state of being possessed by a god that had chosen mu. It is said to be accompanied by physical pain and psychosis. Through singing and dancing (歌舞) the mu begs the gods to intervene in the fortunes of men. The shaman wears a very colourful costume and usually speaks ecstatically. During a rite, a shaman changes his or hers costume several times. In ancient times in Korea there was a custom of drinking alcohol (飲酒歌舞) during the festivals and ancestor worship formalities. While performing in ecstasy the mu were able to connect with their a guardian spirit (神靈) and united they were able to provide fortune telling for the nation or for an individual and they were simultaneously able to fulfil their function as the “controllers” of political situation. All of this is a picture of beliefs concerning mu. Shamans roles, tasks and functions varied widely. Firstly they supervised shrines (神祠) like Sansinsa (山神祠) and Songhwangsa (城隍祠) and oversaw the ancestral rites. As media, intermediaries of the highest forms of being mu were standing in-between spirits and humans. Those who visited a shrine could have their fortune told. Occasionally or sometimes regularly, shamans were overseeing ancestral rites. Therefore through granting individual requests shamans were able to receive protection from the officials or government. When there was no rain, or a drought, shamans would perform the sacrificial rain dance ceremony. By eager prayers, using their powers as a medium mu were supposed to affect the heavenly gods and cause rainfall. The mu were supposed to possess powers which allowed them to see into the future, bad or good, wishing one for individuals or the whole country. They were supposed to prevent a course, a false accusation or even a political strife, which were extremely common during Yuan Intervention Period. Accordingly, when queens or men of power were fighting in their groups mu were supposed to intervene. When Korea was under Yuan(元) rule, the authority of a sovereign was weakened and the country’s autonomy badly damaged, shamans were treating sicknesses. More than a traditional treatment, the mu provide healing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level. What set shamans apart from other healers and priests is their ability to move at will into trance states. During a trance, the shaman s soul leaves his body and travelled to other realms, where helpful spirits guide him in his work. To get to this state of ecstasy they need to sing, dance, and utterances. Using it to their advantage they prepared events for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cy as a form of entertain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무속 신앙의 개념
Ⅲ. 무격의 역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갑동(Kim Gap dong). (2016).고려시대 무속신앙의 개념과 무격의 역할. 역사문화연구, 59 , 3-36

MLA

김갑동(Kim Gap dong). "고려시대 무속신앙의 개념과 무격의 역할." 역사문화연구, 59.(2016): 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