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도금시대(Gilded Age) 미술에 나타난 차의 미학과 문화정치학

이용수 84

영문명
The Aesthetics and Cultural Politics of Tea in American Art of the Gilded Age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조은영(Cho Eun yo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3집,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사이 서양 시각이미지, 특히 미국의 경제호황기인 도금시대(Gilded Age) 미술에 나타난 차문화 관련 주제들을 살펴보되, 이를 급변하는 당시 사회에서 대두된 여성정체성 문제와 동양취향 및 일본취향의 맥락에서 고찰한다. 미국 여성과 차문화를 주제로 한 이 시기 그림들은 메리 카셋(M. Cassatt), 윌리엄팩스튼(W. Paxton), 에드먼드 타벨(E. Tarbell)을 비롯한 주로 미국 동북부지역 출신 화가들이 제작한 것들로, 품격있게 꾸며진 예술적인 여성의 공간 에서 애프터눈 티타임을 갖거나 찻잔을 곁에 두고 포즈를 취한 중상류층 여성이미지들로 대표된다. 미국 특정계층의 여성과 차문화를 주제로 한 이 그림들이 갖는 유사성을 살펴보고, T. 베블린, H. 제임스, J.M. 휘슬러 등이 묘사한 동시대 문화예술, 중국과 일본도자 수집열풍, 일본 다도의식 등 미국 내 확산된 제 경향과 맞물리는 복합적인 맥락을 고찰하며, 그 전반적인 미학과 문화정치학(cultural politics)을 해석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tea culture-related themes represented in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merican visual images, especially in the Gilded Age. In an attempt at an in-depth interpret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era s aesthetic and cultural trends and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at are imbued in these images. It analyzes a series of paintings in the contexts of femininity issues that emerged from changing social structures in America s patriarchal society as well as American women s tea culture that was widely popularized among the affluent and privileged class, and moreover, its relation to Orientalist taste, Western obsession for Asian ceramics, and Japanese tea ceremony. The Gilded Age s representative paintings depicting the subject matter of American tea culture are produced by artists primarily from the Northeastern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Mary Cassatt, William Paxton, and Edmund Tarbell. American female figures portrayed in these works are mostly upper or upper-middle class women having afternoon tea or morning tea in the aesthetically and elegantly decorated women s space, or they are fashionable women posing alongside tea instruments or Asian collectables of high-quality, which appear as symbols of the leisure class and its refined taste. The unifying similarities in these paintings point to the aestheticized life-style and feminine ideal promoted by Americans of privilege and also depicted by such contemporaries as Thorstein Veblen, Henry James, and James McNeill Whistler. This study shows that complex historical issues and cultural politics intertwined with gender and class are embedded within these paintings of the Gilded Ag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미국여성과 차문화 이미지
Ⅲ. 재현의 정치학: 유한계급의 여성상
Ⅳ. 차문화와 일본취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영(Cho Eun young). (2016).미국 도금시대(Gilded Age) 미술에 나타난 차의 미학과 문화정치학. 차문화산업학, 33 , 1-28

MLA

조은영(Cho Eun young). "미국 도금시대(Gilded Age) 미술에 나타난 차의 미학과 문화정치학." 차문화산업학, 33.(2016):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