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식과 이규보의 다시(茶诗)를 통한 인성다도 연구

이용수 156

영문명
A study of the ideology of tea ceremony of Sodongpa and Lee Gyu-Bo -Focused on how to apply the personality training by tea ceremony education.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강미애(Kang Mi ae)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3집,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인성(人性) 을 회복시키는 한 방법으로 북송 동파 소식(東坡苏轼, 1037-1101)과 고려중엽 백운거사 이규보(白雲居士李奎報, 1168-1241)의 인성다도관을 연구하였다. 소식과 이규보 두 인물은 인애(仁愛)가 풍부한 다인으로써, 영욕의 세월 속에서도 검박하고 안분지족의 삶을 보냈다. 이들의 다도사상을 통해 이 시대의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소식과 이규보의 다도사상의 특징은 유불도 삼가 융화사상이 그 배경을 이루고 있다. 공맹사상을 중심으로 불도사상을 수용하여 군자로써 정신과 자세를 지켜나가고, 입세관(入世觀)과 출세관(出世觀)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초월적인 사상, 안분지족한 소요유(逍遥游) 삶의 모습을 공통점으로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상을 근간으로 지었던 다시를 배경으로 소식과 이규보의 인성다도관을 고찰하였다. 소식과 이규보의 인성다도관은 수신다도관(修身茶道觀)과 인문다도관(人文茶道觀)으로 정의를 내려 볼 수 있다. 수신다도관과 인문다도관은 소식과 이규보 두 인물의 인생관, 정치관, 군자관이 함축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두 인물의 깊이 있는 음다생활은 차를 인생의 반려로 여길 정도였다. 그러한 삶 속에서 품다(品茶) 시 명상삼매경(冥想三昧经) 몰입을 통해 청허(清虚)와 적정(寂静)의 경지를 얻고, 반복된 행다(行茶)생활 속에서 알맞은 차 맛을 우려내는 과정을 통해 중정 즉 화의 이치를 터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음다생활은 유불도 삼가 융화사상과 소통되어 더욱 격조 높은 고아(高雅)한 군자상과 청아(淸雅)함을 지킬 수 있게 했고, 차의 특성을 닮은 사무사(思無邪) 정신으로 세상에 몸을 바쳤던 헌신적이고 아름다운 다인 소식과 이규보의 인간상은, 지금 우리가 심각하게 당면하고 있는 인성교육문제 를 풀어 나아가는데 옹달샘과 같은 역할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는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as one of ways of the education to recover the human nature , I tried to carefully contemplate and compare the ideology of tea ceremony of the poet of Northern Song Dynasty Sodongpa and the poet of Koryeo Dynasty Lee Gyu-Bo. These two men, Sodongpa and Lee Gyu-Bo, were not only full of their humanitarian love and mercy but also well known as the famous tea lovers. Although they had to live the era confused with the honor and disgrace, however they lived the life frugal and moderate, feeling a complacence in a fundamentally poor living. Suggesting a desirable human image in this era through the tea-philosophy of these men, it is for what this thesis is ai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 philosophy of Sodongpa (1036-1101)and Lee Gyu-Bo (1330-1374) are based on the ideology of harmony of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s the common point of these two poets, they are suggesting the spirit and the attitude of the man of virtue, accepting the ideology of Buddhism and Taoism focused on the ideology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also, they have the transcendental ideology which is freely crossing over the boundary of the life value and the success value. Having the feature of Chuang-tzu, they pursued the life of living in self-contentment and complacence, as this Chinese philosopher explained in his writing in title of Soyoyu(逍遥游). In base of this ideology, in the background of their tea-poems, I analyzed the tea-philosophy of Sodongpa and Lee Gyu-Bo. We may define the tea-philosophy of Sodongpa and Lee Gyu-Bo as these two expressions: Tea-philosophy of spiritual-physical purification and Tea-philosophy of human science. These two philosophies comprise the views of life, politics, virtuous man of two poets and their values are closely related together. These two men s life of enjoying tea was so profound to the extent they regard the tea as their most important and precious partner. Through this kind of life, immersing in complete oblivion of self, they are finally arriving at the total tranquility. Through the repeated training of tea ceremony, while brewing the very appropriate taste of tea, they finally become to realize the moderation, to say in other word, the true meaning of harmony. Such a life of respecting tea ceremony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deology of harmony of Confucianism-Buddhism-Taoism and made people keep the figure of virtuous man, of highly noble and clean. Sodongpa and Lee Gyu-Bo lived with the transcendental and tranquil spirit just similar with the nature of tea. I am confident that the human image of these two great beautiful poets,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world of desire with such self-denying spirit, might be the spring to us, in solution of the problem of human nature education that our society is now seriously confronting.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소식과 이규보의 인성다도관 비교
Ⅲ. 소식과 이규보의 인성다도관을 통해 인성교육다법 제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애(Kang Mi ae). (2016).소식과 이규보의 다시(茶诗)를 통한 인성다도 연구. 차문화산업학, 33 , 1-34

MLA

강미애(Kang Mi ae). "소식과 이규보의 다시(茶诗)를 통한 인성다도 연구." 차문화산업학, 33.(2016):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