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茶賦』에 나타난 寒齋李穆의 樂道思想硏究

이용수 135

영문명
A Study of Hanjae Yi Mok s Thought on enjoying the Dao (樂道) in his Chabu(茶賦)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박남식(Park Nam sik)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3집,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재 이목(1471-1498)의 차도사상에는 心 이라는 명제가 내재하고 있어서 차심일여와 신묘자락(神妙自樂)한 낙도정신의 특성이 나타난다. 심차(心茶)는 도덕인의를 중시하는 유학적 특성과 현허한 도를 중시하는 노장적 특성이 잘 융합하여 정신적 경계를 초월하고 있다. 또한 심차사상에는 유자적 엄격함 속에서도 낙도의 여유를 즐기는 정신적 초월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유학사상에 철저했던 공자가 시와 예악을 강조하며 정신적 여유를 즐겼던 낙도정신과 같은 맥락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유가에서 지향하는 낙도정신을 공맹과 송조육현(宋朝六賢)을 중심으로 즐거움의 경지를 먼저 살피고, 한재 차도사상의 특성인 낙도사상을 규명하고 있다. 한재의 사상은 도학에 기반하고 이론과 실천면에서 체용을 두루 갖춘 인물로 『茶賦(차부)』를 남겼다. 지극한 곤궁함 속에서도 즐거움을 찾아내는 성인의 안빈낙도를 한재는 차를 마심에서 오는 순수한 즐거움으로 대체시켰다. 즉 한재에게 차라는 것은 학문이나 사상을 뛰어넘어 세대 간의 차이를 좁혀주며, 인격적 평등의 함의를 가지고 모든 사람에게 마음을 화락시키는 힘을 주는 물건이었다. 거경궁리(居敬窮理)의 수양방법으로 정좌(靜坐)를 제시하였던 주자(朱子) 또한 차를 즐기고 사랑하였다. 『주자어류』「雜類」에서 건차는 중용의 덕과 같고, 강차는 백이숙제와 같다.(建茶如中庸之為德, 江茶如伯夷叔齊.) 라고 하며 차의 덕을 유가의 최고 덕인 중용(中庸)으로 논하며 백이숙제의 은일에 비유했다. 『차부』에서 문득 절로 웃음을 띠며 자작하니 어지러운 두 눈동자 명멸하네(俄自笑而自酌亂雙眸之明滅) 라고 하였는데, 차 한 잔의 마심에서 무위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정신이 기운을 움직여 묘경에 이르면, 즐거움은 꾀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게 되리.(神動氣而入妙. 樂不圖而自至.) 라고 하는 묘경과, 이 또한 내 마음의 차이니 어찌꼭 저것에서만 구하겠는가(是亦吾心之茶. 又何必求乎彼也.) 라고 하는 심차사상은 낙도정신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차부』에 나타나는 한재의 낙도정신이 절의로 목숨을 버릴 수 있었던 도학자로서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고 있다.

영문 초록

Hanjae s thoughts on the Dao of tea essentially embraces the theme of mind (心), emphasizing the unity between tea and mind(茶心一如) and spontaneous joy in mysterious subtleness(神妙自樂) in his spirit of enjoying the Dao. His emphasis on the mind in tea, combining Confucian traits of emphasizing morality in benignity and righteousness(道德仁義) and Daoist traits of emphasizing mysterious and empty Dao, transcends the simple boundary of mentality. In addition, his thoughts on the mind in tea includes spiritual transcendence of leisurely enjoying the Dao even within Confucian strictness, in the same spirit as that of Confucius who enjoyed his spiritual freedom in emphasizing poetry, propriety, and music while thoroughly penetrating into literary learning. This study purports to articulate Hanjae s thoughts on enjoying the Dao as the essential trait of his thoughts on the Dao of tea, after investigating Confucian spirit of enjoying the Dao through the state of pleasure in reference to Confucius, Mencius, and six major Confucian scholars during Song dynasty. Hanjae s thoughts, on the basis of the Daoxue(道學), combine its essence and application in theory and practice, which results in his writing of Chabu(茶賦). In Hanjae s writings, the sagely way of embracing poverty in enjoying the Dao, through finding joy even under extreme poverty, is substituted by pure pleasure in drinking tea. Zhu Xi, who proposed quiet sitting(靜坐)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for becoming reverent and investigating principles (居敬窮理), also enjoyed and loved tea. The chapter of Zalei(雜類) in his Zhuziyulei(朱子語類), discussing the virtue of tea as the golden mean(中庸), the supreme Confucian virtue, comparing it to the hidden leisure of Boyi and Shuqi (伯夷叔齊), as in Jiancha(建茶) is like the virtue of golden mean, as Jiangcha(江茶) is like Boyi and Shuqi. In the Chabu s saying Suddenly smiling and spontaneously tasting, both pupils of my eyes blink mysteriously (俄自笑而自酌 亂雙眸之明滅), drinking a cup of tea is expressed to be conducive to the pleasure of effortlessness. In the mysterious state (妙境) in the mysterious state induced by the movement of vital energy inspired by spirit, leading to no intention and spontaneous pleasure and the thoughts on mind in tea in Since this is also due to the difference in my mind, why should I seek the Dao only in that?(是亦吾心之茶. 又何必求乎彼也.), the ultimate state of the spirit of enjoying the Dao is revealed exquisitely. Above all,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reciprocal relation between Hanjae s spirit of enjoying the Dao appearing in his Chabu and his devotion as a scholar of the Dao so as to risk his own life for the sake of propriety and righteousnes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儒家의 樂道精神
Ⅲ. 『茶賦』에 나타난 樂道精神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남식(Park Nam sik). (2016).『茶賦』에 나타난 寒齋李穆의 樂道思想硏究. 차문화산업학, 33 , 1-32

MLA

박남식(Park Nam sik). "『茶賦』에 나타난 寒齋李穆의 樂道思想硏究." 차문화산업학, 33.(2016):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