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도구 재료로서의 옹기에 대한 고찰

이용수 130

영문명
Study on Onggi as a material for the tool of tea ceremon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영란(Lee Young ran)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3집,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의 차문화는 고대사회부터 시작되어 현대까지 전승되고 있는 전통문화의 하나로서 의식다례와 생활다례 두 가지 모두 성행하였다. 즉 다례는 국가 행사의 한 의식이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자리를 잡아서 제사와 결합된 차례, 규방다례, 선비다례 등 생활다례가 선조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차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차맛과 품격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도구들이 필요한데 이를 통틀어 다도구라 칭한다. 다도구에는 다기(茶器)와 다구(茶具)가 있다. 다기는넓은 의미로는 차를 내는데 쓰이는 여러 종류의 도구를 모두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의 다기는 찻물을 담거나 차를 우려내는 그릇 을 말한다. 기타 찻일(茶事)에 쓰이는 여러도구를 다구라고 한다. 다도구의 재질로는 금, 은, 동, 철, 도자, 옹기 등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주류를 이루는 것은 도자기라 할 수 있다. 도자기는 다른 재료에 비해 저렴하고 대중적이기도 하지만 상대적으로 따뜻한 질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다구의 재료로 적당하다. 전통 옹기는 각종 다도구 즉 다관, 찻잔, 찻사발, 탕관, 화로, 숙우, 퇴수기, 물항아리등의 재료로 많이 이용되었으며, 근래 현대옹기가 다구를 중심으로 재조명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전통 다도구의 특성과 재질을 통해 선조들의 차문화를 고찰하고, 나아가 다도구 재료로서의 전통 옹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정체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현대옹기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옹기 다도구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ur tea culture has been a cultural tradition since the ancient society, which both ritual tea ceremony and life tea ceremony had been prevailed. The tea ceremony was not the only ritual ceremony of a country but also had been loved by ancestors as a routine life ceremony combined with memorial service, Gyubang-darye (Lady s tea ceremony) and Seonbi-darye (Man s tea ceremony). Many tool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taste and character of tea which is called the Dadogu . Dadogu consists of Da-gi (茶器) and Da-gu(茶具). As a broad meaning, Da-gi means various tools for making tea, however, as a narrow meaning, Da-gi means a pot for carrying tea water or brewing tea. On the other hand, Da-gu means tools for making teas. Among many different materials which are used for Dadogu - gold, silver, copper, iron, ceramics, and onggi(pottery) - ceramics are the major material that had been used. Ceramics are not the only cheap and popular material, but also has relatively warm feeling which is compatible for Da-gu. Traditional Onggi had been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Da-gwan (pot for brewing tea), tea cup, tea bowl, Tang-gwan (pot for boiling water), fire pot, Sook-woo (pot for cooling water), Toisoogi (pot for dumping used water), and water jar. Recently, modern Onggi had been looked over again as a material for Da-gu.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ancestor s tea culture through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of traditional Dadogu. And moreover, hope to create various Onggi Dadogu by applying concepts and identity of traditional Onggi to modern Onggi.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다도구의 특성과 재질
Ⅲ. 다도구로서의 옹기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란(Lee Young ran). (2016).다도구 재료로서의 옹기에 대한 고찰. 차문화산업학, 33 , 1-26

MLA

이영란(Lee Young ran). "다도구 재료로서의 옹기에 대한 고찰." 차문화산업학, 33.(2016):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