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지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기성시가지의 역사 문화공간 DB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0

영문명
A study on history culture space DB construction of method for urban area using land information systems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이재환(lee, Jea Hwan) 장영진(Jang, Young Jin) 신민식(Shin, Min Sik)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2권 제2호, 81~9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도시 지역의 인구감소와 물리적 성장 둔화 등 도시 쇠퇴 문제에 대하여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도시의 잠재된 역사 문화를 통한 기성 도시의 재구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행하였다. 조선시대 이후 발달해온 도시들은 구도심 부분에 많은 문화적 잠재요소를 내포하고 있지만 그 가치에 대한 개발이나 공간의 적용에 대한 논의가 그리 활발하지 않았음으로 이들 도시요소를 발굴하여 도시에재 반영함으로써 도시의 새로운 미래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의 문화 역사적 자료가 활용 될 수 있으며, 특히 그러한 자료의 토지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DB구축과정을 통해 도시의 다양한 방향성을 보여 줄 수 있는가에 대한 과정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 까지 도시 역사나 문화에 대한 정보나 자료는 각각 개별적인 DB형태로 관리 되어왔거나, DB화조차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자료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도시문화 역사의 종합적인 데이터구축을 위하여 우선 역사별로 중세와 근세에 도시와 관련된 원 자료를 발굴하고 그 가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원 자료들을 현대에 구축된 도시 DB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을 시도하여 도시의 종합적인 역사 문화 DB 구축과정을 정리하였다. 특히 사례지역인 대구광역시 중구지역의 GIS 를 통한 역사자료의 DB화 과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도시의 문화역사 DB가 어느 정도 활용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심 정책 반영에 있어 활용방향을 몇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역사적 데이터의 구축을 GIS 통한 새로운 활용방법 제시와 더불어 앞으로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의 역사적 DB구축과 활용을 통한 도심정책 수립의 한 방법으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nderstand the issue of urban decline and discuss about solutions by to recognize and take advantage of potential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n the city. Cities in Korea since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developed. and most of old part of town a lot of potential cultural factors are implicated. But The value of the old city as a cultural space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utiliz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most cities have no comprehensive history and culture DB. This study shows a city activation method through historic DB construction. In addition, we can show that what kind of documents and image can be used for historic DB construction. The information for the city history, the culture and the document were managed as form of individual DB. and even there are a lot of documents that it is not consist as DB so far. We are researched the document which is associated with Middle Ages and the early modern times of the city for the making of general city data. And we try to combination with now and past city DB by LIS system as various forms of general city DB. This study can be discuss as new utilization of LIS. and We hope that such a study process will be understand as new methodology in the downtown area worth as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목차

1. 서 론
2. 중세 근대 도시 역사 문화 자료의 종류 및 DB요소 추출방법
3. 도시 자료의 종합적 DB화
4. 도시 역사 문화 DB의 활용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환(lee, Jea Hwan),장영진(Jang, Young Jin),신민식(Shin, Min Sik). (2016).토지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기성시가지의 역사 문화공간 DB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2 (2), 81-92

MLA

이재환(lee, Jea Hwan),장영진(Jang, Young Jin),신민식(Shin, Min Sik). "토지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기성시가지의 역사 문화공간 DB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2.2(2016): 8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