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유형 연구

이용수 176

영문명
A Study on the Pattern of Land Terms described in Toegye’s Collected Works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박기헌(Park, Ki Heon) 장은숙(Jang, Eun Suk)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2권 제2호, 1~1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토지용어의 유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간적으로는 퇴계가 출생한 1501년부터 사망한 1570년까지로 하고, 공간적으로는 국내로 하며, 내용적으로는 퇴계전서 제1책과 제2책의 시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으로는 비교분석법과 기술적 분석법(記述的 分析法)을 병행하 였다. 분석결과, 토지용어는 크게 산(山) 천(川) 전(田) 집(家)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집 유형의 토지용어는 집의 크기 지붕의 재료 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밭 유형의 토지용어는 모든 경작지를 전(田)이라 하고, 전은 수전(水田)과 한전(旱田)으로 분류되었으며, 논과 밭이 구분되지 않았다. 밭의 면적은 밭이랑(畝)의 수로 나타났다. 산 유형의 토지용어로 봉(峯)은 산의 정상을, 록(麓)은 봉의 아래 산기슭을, 원(園)은 규모가 작고, 집으로부터 가까운 산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 유형의 토지용어로 渠(거)는 도랑을, 계(溪)는 작은 시내를, 천(川)은 보통크기 하천을, 강(江)은 큰 하천을, 소 (沼)는 작은 웅덩이를, 담(潭)은 규모가 큰 웅덩이를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n-depth condition of land terms described in Toegye’s collected works while presenting the pattern of land terms from that point of view. To this end, the study was focused on temporal background from 1501 when Toegye was born to 1570 when he died; physical background was limited to our country; and the content was limited to the poem in Volume I and Volume II in Toegye’s collected works. Literature survey and internet search were carried out as a survey method while both comparative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adopted as an analytic method. The findings support that land terms are mainly categorized by four patterns as “mountain”, “stream”, “field” and “house”. The land term of “house” is pattern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house size, roof materials and the location of the house. The land term of “field”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all farmlands are simply called as “field” and then the “field” is again classified into “Paddy-field (Sujeon)” and “Dry-field (Hanjeon)”. However, neither field nor rice paddy was defined. The field area was expressed in the number of plowed rows in a field. The land term of “mountain”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Bong” is defined as the peak of mountain; “Rok” is defined as the foot of mountain under “Bong”; and “Won” is described as a small mountain near to house. The land term of “stream”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Geo” defines ditch; “Gye” as small stream; “Cheon” as ordinary stream; “Gang” as river; “So” as small puddle; and “Dam” as a large puddle.

목차

1. 서 론
2. 토지용어의 일반적 고찰
3. 퇴계전서의 토지용어 실태 분석
4. 조선시대 토지용어의 유형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헌(Park, Ki Heon),장은숙(Jang, Eun Suk). (2016).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유형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2 (2), 1-11

MLA

박기헌(Park, Ki Heon),장은숙(Jang, Eun Suk). "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유형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2.2(2016): 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