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

이용수 607

영문명
The Discovery of Baduk in Gilles Deleuze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장시기(Si Ki Chang)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1권 3호, 41~6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은 두 개의 특성을 지닌다. 하나는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가 국가철학을 형성하기 이전의 노모스 사회를 구성하였던 지식의 발견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지식이 지니는 노마드적 특성을 발견한 것이다. 그러나 서구 유럽의 전통이 하나가 아닌 것처럼 동아시아의 전통도 또한 하나가 아니다. 따라서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에서 드러나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지식은 일본의 히야마 하사오가 『동양적 근대의 창출』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일본 근대문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과 중국 근대문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루쉰의 문학에 나타난 공통적 특성, 즉 서구적 근대화와 더불어 “탈각해야 할 동양”과 “회귀해야 할 동양” 중에서 “회귀해야 할 동양”의 전통적 지식을 의미한다. 히야마 하사오가 이야기하는 “탈각해야 할 동양”은 유가적 지식을 의미하고, “회귀해야 할 동양”은 도가적 지식을 의미한다. 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은 또한 장기와 체스의 놀이가 국가철학에 토대를 둔 것과 달리 바둑의 놀이가 노마돌로지의 지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것의 발견이다. 따라서 히야마 하사오가 이야기하는 “회귀해야 할 동양”의 도가적 지식과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이 상호 일치하는 것은 장기와 체스의 국가철학에 바탕을 플라톤주의와 유가철학이 상호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구촌 시대의 지구지역적 가치로 바둑의 체계가 아주 적절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체스와 장기의 체계가 왕국과 왕국, 혹은 국가와 국가의 대립구도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바둑의 체계는 집과 사회와 국가의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과정이라는 시간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체스와 장기의 말들은 외부에 의해서 “상대적 권력을 부여받은 . . . 언표행위의 주체”인데 반하여 바둑알들은 “주체화되어 있지 않은 기계적 배치물의 요소들로서 . . . 상황적 특성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바둑판 위에서 바둑알들이 노마드적 비주체로 존재하는 “상황적 특성”이 바로 들뢰즈가 바둑의 발견에서 말하는 “존재의 기술”이다. 미쉘 푸코가 『성의 역사』에서 문명의 사회로부터 탈영토화를 한 노모스 사회의 특성이었던 “존재의 기술”은 인간들의 삶을 구성하는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과정에서 만드는 “행동규칙”과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그들의 특이한 존재 속에서 스스로를 변형시키는 미학적 가치”인 동시에 “어떤 양식의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고자 하는 신중하고도 자발적인 실천”이다. 바둑을 구성하는 초반부와 중반부와 종반부는 바로 노마드적 “존재의 기술”, 즉 생산적 욕망의 관계들을 구성하는 “행동규칙”과 무리나 집단 속에서 변화를 생산하는 “미학적 가치”, 그리고 삶을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고자 하는 “자발적인 실천”과 동일하며, 이러한 “존재의 기술”은 들뢰즈가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이야기하는 예술적 지식과 철학적 지식, 그리고 과학적 지식의 결합과 일치한다.

영문 초록

The discovery of Baduk in Gilles Deleuze is not only the discovery of the knowledge in the old Greek nomos society, but also the one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 But it is not the traditional thought of the state philosophy, but the one of the nomadology. Since the polis and the state had been formed in the world, they were based on the logic of state philosophy and erased the knowledge of nomadology in which the old and modern Platonism have been consisted in the West and the Confucianism are derived in the East. The discovery of Baduk in Gilles Deleuze is that the Chess is the game based on the logic of State Philosophy in the West and the East, but the Baduk is the only one game based on the nomadology known and thought in the landscape of the world. The point is that since the 17th century, the western european discovery of modern political-industrial imperialist landscapes has spread across the worl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west, white and mail centered state philosophy, until today it ravages all kind of nomadic life forms. Deleuze says that the state philosophy is based on the logic of the chess in which the chess pieces have “an internal coded nature and intrinsic properties from which their movements, situations, and confrontations derive”, but the nomadology is based on the logic of the baduk in which the baduk pieces have “only an anonymous, collective, or third-person function” from which their movements “are elements of a non-subjectified machine assemblage with no intrinsic properties.” In contrast with Chess pieces, Baduk pieces have the “arts of existence.” Baduk pieces can destroy an entire constellation synchronically, and make the various houses, societies, and states in which they show the “arts of existence” are structured with “those intentional and voluntary actions by which men not only set themselves rules of conduct, but also seek to transform themselves, to change themselves in their singular being, and to make their life into an ouevre that carries certain aesthetic values and meets certain stylistic criteria.” The “rules of conduct”, “aesthetic values” and “voluntary actions” discovered in the “arts of existence” of Baduk is the convergence between the knowledges of art, philosophy and science in the trans-modern global and local world.

목차

Ⅰ. 바둑의 풍경
Ⅱ. 문화연구와 바둑 인문학
Ⅲ. 바둑의 탈근대적 ‘존재의 기술’
Ⅳ. 탈근대적 생명 가치의 창출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시기(Si Ki Chang). (2016).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 비평과 이론, 21 (3), 41-63

MLA

장시기(Si Ki Chang). "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 비평과 이론, 21.3(2016): 4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