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limpsing the Infinite Movement through Literature: The Deleuzian Body without Organs and the Buddhist Emptiness

이용수 11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이재성(Jae Seong Lee)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1권 3호, 65~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문학의 역할, 특히 한 문학작품의 결론의 장에서 독자가 무엇을 경험하게 되는가를 들뢰즈(와 거타리)의 초월적 존재론으로 조명해보고, 들뢰즈 이론의 미흡성을 마하야나(대승)불교의 관점으로 보완하는 연구이다. 들뢰즈와 거타리에 의하면 무한한 움직임은 순수하게 되는 과정이다. 그것은 존재론적으로 긍정한다거나 부정한다거나 하는 개념이 생성하고 변하는 과정이 아니며, 항상성, 영구성을 지니고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만들고 있으나 우리가 지각으로 감지할 수는 없다. 즉 들뢰즈의 생성 혹은 되기는 말 하나 하나의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종합적으로 보자면, 지금까지 숭고미라고 지칭된 층을 의미하며, 들뢰즈의 “타자”라는 단어도 이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없는 층을 가리킨다. 이 영역은 작은 분별심(organs)이 없고 진정한 지혜만 있는 영역이다. 거타리와 협력하여 쓴 저서들 보다 들뢰즈가 일찍이 혼자 저술한 책들에 보면 들뢰즈의 뜻이 더 명료해진다. 그러나 들뢰즈의 생성/되기나 기관 없는 신체는 레비나스가 그의 타자의 철학에서 의미하는 윤리학적 중요성은 지니지 않음을 짚은 후, 마하야나 불교가 가장 근본적 의미의 인간임과 윤리성 모두를 지니고 있음을 설명한다. 『금강경』과 특히 『화엄경』이 많이 인용, 논의 되었으며, 선불교에서의 “이뭣고” 화두도 문학작품이 추구하는 바의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and goal of literature and the art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ending of a text, from the perspectives of Gilles Deleuze’s transcendental ontology and Mahayana Buddhist philosophy. The central ideas would be Deleuze’s “infinite movement” and the Buddhist philosophy of perfect emptiness. According to Deleuze and Felix Guattari, the infinite movement is the movement of pure becoming. The goal of becoming is to be a body without organs that is carried on with consistency on the non-ontological level. In the Buddhist light, it is staying on the Middle Path which means a process by which the reader lessens and abolishes the power of the ego. The egocentric thought and become one with the all embracing and unconventional, non-identifiable transendence. This essay also shows the vast view of the infinite movement in Avatamsaka Sutra. Then the ending of Hamlet as a supreme example is examined from this viewpoint. Going beyond Deleuze’s thought, which lacks et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imit of Levinas’s ethical philosoph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ost profound thought in great Buddhist Sutras such as Diamond Sutra and Avatamsaka Sutra.

목차

Ⅰ. Deleuzian Transcendental Ontology
Ⅱ. Glimpsing the Infinite Movement at the End of Reading a Literary Text
Ⅲ. Full Vision of Infinite Movement and Infinity in Mahayana Buddhism
Works Cited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성(Jae Seong Lee). (2016).Glimpsing the Infinite Movement through Literature: The Deleuzian Body without Organs and the Buddhist Emptiness. 비평과 이론, 21 (3), 65-88

MLA

이재성(Jae Seong Lee). "Glimpsing the Infinite Movement through Literature: The Deleuzian Body without Organs and the Buddhist Emptiness." 비평과 이론, 21.3(2016): 6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