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이용수 99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이은경(Lee Eun Kyung)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129~1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관계에 대해 종단 연구로서,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성장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와 고등교육 특성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의 사례를 통해 밝히고자 설계되었다. 한국의 경제성장의 귀인을 교육에 두는 논의는 국내외적으로 지속되어 왔으나, 교육이 그 중에서도 특별히 고등교육이 경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국(1965-2014)의 고등교육과 경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기간(50년) 동안의 한국의 거시경제지표(일인당 국내총생산, 산업영역별 국내총생산, 주가지수 등)들과 고등교육 관련 통계(대학 졸업생 수, 전공별 졸업생 수 등)를 통합하여 변인을 구성하였다. 경제 및 고등교육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시계열 분석의 한 종류로 종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들의 변화추이를 추척하여 패턴을 예측하는 ARIMA(자동회귀통합이동평균)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제지표에서는 ARIMA (1,0,0) 모델이 경제성장을 가장 잘 예측하였고, 모델 패턴 이후에 주가지수와 대학 졸업생 수 여전히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대상 기간 동안, 한 명의 대학 졸업생 증가가 해마다 한국에서는 1.6센트의 1인당 GDP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고등교육 증가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 간에 정적인 순환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순환의 고리에서 고등교육 증가가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정도보다는 경제발전이 고등교육 증가를 설명하는 양이 더 컸다. 전공영역과 관련하여, 한국의 모든 전공영역이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전공별로 산업구조에 따라 다른 관계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교육이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단위의 유익에 기여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고등교육 비용에 대한 공공부담에 대한 적극적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고등교육 투자를 위해서는 고등교육 구조와 경제발전의 세부적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was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Responding to the needs of industries during that period, higher education expanded approximately 200 times beyond the enrollment level in 1900 (Schofer & Meyer, 2005).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individual benefit of higher education have flourished but little was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o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ntributions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 institutional sector and major -- to the growth of national wealth. This study chose South Korean case that exemplify rapid growth in the economies through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The study collected the panel data about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es from 1965 to 2015 for South Korea and applied an ARIMA model regression for time series analysis. The effect of four major groups on GDP per capita and GDP sectors(agriculture, industry, service et al.) on overall economic growth were examined. In result,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nomic growth, an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of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as examined in South Korea's industrialization periods. all of the four major group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GDP value added by industry and service et al., In South Korea,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group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through affecting on the increase of their industrial and service GDP. For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composi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levels as well as major composition in higher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Lee Eun Kyung). (2016).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 (2), 129-150

MLA

이은경(Lee Eun Kyung). "시계열 ARIMA 모델을 통한 한국의 고등교육 팽창과 경제 성장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5.2(2016): 129-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