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45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match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하여진(Ha Yeo jin)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5권 제2호, 2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화경향점수 역확률 가중치를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직무일치도는 교육일치와 기술일치 두 측면에서, 직무만족은 내적 직무만족도와 외적 직무만족도 두 측면에서 살펴보아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감소시키며,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교육 및 기술수준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높은 교육ㆍ기술수준은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 낮은 기술수준도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낮은 교육수준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일치가 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적 직무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술일치가 내ㆍ외적 직무만족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불일치가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관계를 완화하기 위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난 외적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정한 인사체계와 기술수준에 맞는 보수 체계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직무일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드러난 기술일치를 높이기 위한 대학에서의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과 직장에서의 적응을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멘토링 제도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is, 2013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lying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inverse probability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e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under-education mismatch and under-skill mismatch increase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Second, the over-education mismatch and over-skill mismatch directly affect on increasing the intention to leave. The under-skill mismatch also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under-education mismatch does not directly affect on intention to leave.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ex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s both of external and internal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kill match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job stability, welfare system, and personnel management fairness are needed to improve external job satisfaction which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mismatch and the intention to leave. Second,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infra and job training which can improve job match and job adjustment are required to reduce the frequent turnover.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여진(Ha Yeo jin). (2016).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재정경제연구, 25 (2), 29-52

MLA

하여진(Ha Yeo jin). "직무일치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재정경제연구, 25.2(2016): 2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