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이용수 442

영문명
Janggunchong(將軍塚) and the Surroundings Goguryeo’s King Tomb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李道學(Lee Do hack)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8집, 3~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인들이 남겨준 문화유산 중 가장 의미 있는 유산의 하나가 광개토왕릉비이다. 광개토왕릉비는 주지하듯이 1775字로써 건국 과정과 광개토왕의 훈적, 그리고 수묘인에 관해 낱낱이 기재하였다. 그러한 광개토왕릉비는 광개토왕릉과 연계된 비석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런데 본고 작성의 직접적인 계기는 태왕릉을 에워싸고 있는 陵墻의 존재를 확인하면서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태왕릉 주변 '土壘'의 존재가 도면에 적시되어 있었지만 看過하였었다. 물론 광개토왕릉비와 태왕릉은 비록 350m밖에 안 떨어져 있다. 그렇지만 어디까지나 태왕릉 담장 바깥에 능비가 소재했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그런데 필자는 담장을 가리키는 '土壘'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논문을 입수하였다. 그럼에 따라 태왕릉의 '土壘' 즉 陵墻 바깥에 능비가 세워진 사실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 사실은 태왕릉과 능비가 서로 관련이 없음을 웅변하는 것이다. 나아가 그간 지루하게 전개된 광개토왕릉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력한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장군총은 광개토왕릉임을 확정 짓고자 하였다. 반면 광개토왕릉으로 한때 유력하게 지목되기도 했던 태왕릉은 '國罡上王'이었던 고국원왕의 陵으로 비정하는게 합당하였다. 당초 왕족묘로 분류되었던 우산하 0540호분은 태왕릉 뒤편에 소재하였던 한변 20~25m되는 5基의 석총 가운데 한 곳이 분명하였다. 조밀하게 붙어 있었던 이들 고분군은 단독 墓域을 확보하고 있지도 않았다. 그런데다가 태왕릉에서 북쪽으로 불과 100여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우산하 0540호분은 태왕릉 북쪽 陵墻에 가장 근접하였다. 이러한 점에만 비추어 보더라도 우산하 0540호분은 왕릉으로 비정할 수 없다. 따라서 우산하 0540호분에 대한 왕릉 비정 논의는 의미를 잃게 되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most meaningful cultural heritage which was passed down by Goguryeo people is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It consisted of 1775 letters, and it is about the process of founding a country, a brilliant achievement of him, and the people who did Sumyo in detail. There is not much more to say that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is related with the tomb of him. However, a direct chance to write this article was when I checked the wall of royal tomb surrounding the tomb. So far the existence of small sand wall around the tomb was remarked in the plan but passed over. Of course the tombstone and the tomb are only 350m away. But it was pointed that the tombstone was located outside of the wall of the tomb. And I came to get a research paper which recorded the existence of a small castle indicating the wall concretely. Thus, I could seize the fact that the tombstone was erected at the outside of the tomb. It means that the tombstone and the tomb have no relevance. Futhermore, this argument could be a powerful ground to put an end to dispute on the tomb of King Gwanggaeto. Janggunchong(將軍塚) tried to seal it as the tomb of King Gwanggaeto. On the other hand, the royal tomb which was strongly pointed out as of King Gwanggaeto was more proper to decide as it of King Gogukwon who was called Gukgangsangwang(國罡上王). It was certain that Usanha Tomb No. 0540, classified the royal family tomb initially, was one of five stone tombs, located at the back of the tomb, and each had 20~25m on a side. Located densely together, these tombs didn’t have each boundary. And Usanha Tomb No. 0540 was only 100m away northward from the royal tomb and closest to the north tomb. For these reasons, Usnaha Tomb No. 0540 cannot be a royal tomb. It became meaningless to discuss on deciding whether it is a royal tomb or not.

목차

Ⅰ. 머리말
Ⅱ. 太王陵의 被葬者 檢證
Ⅲ. 國罡上 주변 王陵 檢證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道學(Lee Do hack). (2016).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역사문화연구, 58 , 3-33

MLA

李道學(Lee Do hack).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역사문화연구, 58.(2016): 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