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梵字 眞言銘 銅鏡의 特徵과 意義

이용수 45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Bronze Mirror with Sanskrit Lette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嚴基杓(Eom Gi py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8집, 35~8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銅鏡은 사물을 비추는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呪術的인 특수한 목적의 器物로서 威神的 性格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銅鏡은 다양한 용도로 제작되었는데, 그중에서 표면에 梵字로 眞言을 새긴 사례가 상당수 확인되고 있다. 梵字가 새겨진 銅鏡은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는데, 梵字 眞言이 새겨진 銅鏡은 발굴시 수습된 出土品, 국내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傳世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梵鏡은 고려후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들어와 유행하였으며, 분묘에 시신과 함께 부장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범경은 크기에 따라 대중소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소형이 압도적으로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다. 동경에 새겨진 眞言은 種子眞言, 淨法界眞言, 六子眞言, 準提眞言 등이다. 이중에서 한국 사람들이 높게 신앙했던 六子眞言이 압도적으로 많이 새겨졌다. 梵鏡은 携帶 護身鏡, 所藏 祈福鏡, 埋納 追福鏡, 奉安 神呪鏡 등 다양한 용도로 제작되거나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小形 梵鏡은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개인의 安寧과 福을 기원하거나 무덤 속에 부장되어 追福과 極樂往生을 염원하는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편년이 확실한 범경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공반되는 유물들로 보아 조선전기에 많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梵鏡은 고려와 조선시대 불교의 밀교적 경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된다. 앞으로 범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자료가 축적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bronze mirrors know how to use was man's metal starting to make metal containers. It was feature onto things and made of special purpose for the magical meaning. It was recognized as a sacred thing. Thus, It had been made for various purposes. Among them, Sanskrit as a carving a proposition case was more of them were identified. Sanskrit inscribed on bronze mirror is designed to use a special purpose. It was found in the excavation and was housed in the museum at home and abroad. Bronze mirror with Sanskrit Letters start from the Joseon era came late Goryeo, this stylish. It was the chief with the dead body, in a grave is identified by many things. Depending on the size public divid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Among them, small size watches showing many of them with overwhelming. Sanskrit mantra identified Seed word mantra, Jeongbeopkkye mantra, six words mantra, and Junje mantra on the Buddhism. There were our country person from six words mantra was carved in the most from the most faith. It was made for the portable, buried, including for enshrinement. Especially, small size blessed with the well-being of origin as it goes hospitality. people put it in the grave, objects that hopes of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Bronze mirror with Sanskrit Letters were seen artifacts from excavated along with much is estimated be made in the Joseon Dynasty. Goryeo and Joseon era a Buddhist mystic tendencies show it as the classic case your attention. Comes from in order to deepen understanding about Bronze mirror with Sanskrit Letters for region, user layers, and chronology. I expect it to dispatch additional review, chronology and so on.

목차

Ⅰ. 序論
Ⅱ. 梵字 眞言銘 銅鏡의 現況
Ⅲ. 梵字 眞言銘 銅鏡의 類型과 特徵
Ⅳ. 梵字 眞言銘 銅鏡의 活用과 意義
Ⅴ. 結論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嚴基杓(Eom Gi pyo). (2016).韓國 梵字 眞言銘 銅鏡의 特徵과 意義. 역사문화연구, 58 , 35-82

MLA

嚴基杓(Eom Gi pyo). "韓國 梵字 眞言銘 銅鏡의 特徵과 意義." 역사문화연구, 58.(2016): 35-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